(처음 실행하게 되면 반드시 자신이 "편집할 영상 속성"에 맞춰 그것에 맞는 틀이 필요하게 됩니다)
이전 게시물과 마찬가지로 간단하게 요약해서 알고 싶은데, 복잡한 설명이 싫다면 다음 그림들과 예시로 살펴 보기 바랍니다.
시작합니다.
![]() |
프로 그램 실행 후, New Project 를 선택하고 나면 위와 같은 그림이 보여질 것입니다. 1. 보통 우리는 4:3 영상이나 16:9 영상으로 촬영 or 캡쳐할 것이므로, 그것에 맞춰 프리미어 프로에 이미 포함 되어 있는 "대략적인 프리셋"중 비슷한 것을 선택합니다. 2. 세부 설정 조정을 위해, Settings 를 선택합니다. |
![]() |
2023에서도 큰 차이 없습니다. 표준 적인 것을 선택해, 나중에 세부 조절을 할 수 있습니다. |
![]() |
커스텀 모드에서 변경할 것이 있다면, 변경해 줍니다. 커스텀을 선택하면, 각종 옵션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습니다. 4:3 모드도 16:9와 같이 설정된 프로파일 값이 있습니다. Rec 709는 SDR 표준 영상일 때 선택합니다. (2100 HLG는 HDR 영상일 때 선택합니다) 하단 부분 해상도 및 코덱은, 편집 화면에서 보여질 미리 보기일 뿐입니다. |
![]() |
HDR 영상이라도 출력시 Rec 709를 선택하면 SDR로 출력됩니다. |
위 동영상 35초 부분에서 시퀸스와 촬영소스가 같아야 함을 알 수 있습니다.
*위 영상은 최초 편집을 위해 만들어진 틀(시퀸스)가 왜 중요한 지 알 수 있습니다.
(시퀸스와 촬영 원본의 프레임이 같아야 시간의 오류도 없어집니다, 적어도 의도한 것이 아니라면 말이죠)
|
동영상 해상도 및 프레임 최소 비트레이트 확보량. |
블로그 전용 / 유튜브 링크 일부 공개 영상입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소중한 의견, 가급적 빠른 답변을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