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프로는 F2.5의 '리니어 /광각 /초광각' 종류별 화각과, 슈퍼포토 HDR RAW
표준JPG를 선택하여 사진을 찍을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근거리(접사나 그에 준하는 일상에서의 거리)는 의미 없는 화각 및
조리개지만, 가깝지 않은 적당한 거리나 중 원거리 전체 풍경에서는 멋진 화각을
보여주는 장점이 있습니다.
(근거리 음식과 같은 대상은 스마트폰 쓰세요 : 고프로는 이런 것에는 전혀 맞지
않고 좋지도 않습니다)
다음은, 슈퍼포토와 HDR을 간접 체험할 수 있는 단순 사진 비교(실사)를
해봤습니다.
*주 : 사진은 640 해상도로 축소되어 있으므로, 이것으로
화질을 판단하는 대상이 될 수 없습니다.
*주 : 고프로는 All EIS 손떨방 잘라내기 기술을 사용합니다.
살펴 보시죠.
|
|
고프로 공홈 상세 기술 표기입니다. 사진 기본 화소는 버전이 높아질 수록 화소 수가 늘어나 화질이 좋아질 수 밖에 없습니다. |
|
|
|
슈퍼포토 출력에 대한 설명입니다. (일반적인 표준 용량jpg보다, 고용량 jpg출력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
|
|
|
HDR 출력에 대한 설명입니다. == 2장의 연속 게시된 사진 출력 순서는, 1 슈퍼 포토 / 2 HDR 순입니다. *주 : 멋진 사진을 게시하는 것이 아닙니다. (고프로의 슈퍼포토와 HDR 차이를 알기 위한 게시물입니다) |
|
|
|
슈퍼포토 |
|
|
|
HDR |
|
|
HDR이 하늘 빛도 다르고 나무 표현이 만화 같다는 느낌도 있습니다. |
|
|
|
슈퍼포토 |
|
|
|
HDR |
|
|
이 장면만 본다면 슈퍼포토가 사실적(현장감)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 현장에 가까운 밝기는 좌측(HDR)이 훨씬 가깝습니다) *주 : HDR을 처음 경험한다면, 온몸으로 '그렇지 않다' 라고 거부를 할 수 있습니다. HDR이 뭔가 더 밝아진 느낌(어두운 곳의 밝기(명암), 분명함)을 받을 수 있습니다. |
|
|
|
슈퍼포토 |
|
|
|
HDR 명암비가 확실히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왼쪽 나무 / 벤치 아래 명암, 하늘 빛을 주목하십시오) |
|
|
|
슈퍼포토 |
|
|
|
HDR |
|
|
구분이 어려울 수 있지만, HDR쪽 음영 지역이 다릅니다. (HDR이 음영 지역과 함께 이미 밝은 부분도 더 밝게 함으로 이질감(그림?)을 느낄 수 있습니다) |
|
|
|
슈퍼포토 하늘 색이 하얗게 날아가는 것은 스마트폰(고프로)에서도 자주 보이는 현상입니다. (물론, 순간적으로 각도등이 영향을 주긴 합니다) |
|
|
그림과 같이, 역광 비슷한 환경에서는 HDR이 명암비를(좌) 더 나은 상황으로 만듭니다. |
블로그 전용 / 유튜브 링크 일부 공개 영상입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소중한 의견, 가급적 빠른 답변을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