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28일 화요일

고프로 (호환렌즈) 애너모픽(anamorphic) 렌즈를 보류한 이유.

 현재(25년 1월 기준) 고프로 13 초기 발표 이후, 13전용 애너모픽 렌즈가 공홈에서도 판매가 되지 않고 있습니다.

25년 3월 25일 출시된다는 말이 있습니다 : 게시물 최하단 참고.

애너모픽 렌즈는, 시네마틱 특화용 렌즈이며 고프로 13 이전에도(고프로9) 호환 렌즈는 있어 왔습니다.

*주의 : 이 게시물은 호환 렌즈 사용기가 아니라, 구입 전 수 많은 정보를 취합하여 작성한 게시물임을 알립니다.

13이 아닌 호환 렌즈를 호기심으로 어떨까 고민한 이유가, 고프로 13전용이 미출시이기도 하고(너무 비싸기도 하고) 잘못 알고 구입한다면 돈 낭비가 되기 십상인 제품 분류이기도 했습니다.

링크 : [GIF] 고프로(9)에 추가 CPL 렌즈(필터)는 사 볼만한 물건일까?

링크 : [GIF] 고프로(9)에 추가 ND 렌즈(필터)는 어떨 때 사용하는 것?

그래서, 저렴한 호환 렌즈로 입문해보려고 정보를 모으려고(고프로9) 알아보다(국내 고프로 시네마틱 렌즈 유튜브나 후기 없음 / 대포 카메라는 있지만), 외국 유튜브 영상과 문서 정보를 취합하면서 호환용 렌즈는 "보류" 하는 것이 현명하다 생각했습니다.

*주의 : "호환 렌즈"는 보유한 고프로(X) 버전에 따라 지원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목록 : 

1. 시네마 렌즈 대비 고프로 초점 거리.

2. 호환 렌즈 비네팅과 하이퍼스무스 관계.

3. 가격(호환용 가성비)

4. 선형(리니어) 화각과 잘라내기 + 수평 유지 고민 (고프로EIS + 짐벌 조합)

5. 고프로13 전용 렌즈 미리보기.

왜 그런지, 그 이유를 살펴 보시죠. 


알리나 쿠팡 네이버등 검색을 해보면, 제조사(호환)마다 가격이 제각각입니다.

유심히 살펴 보니, 초점 거리에 따라 가격이 다르고 배수에 따라 가격이 다르더군요.

1.33x / 1.2x / 초점 거리와 신뢰도 등등...

그리고, 호환 렌즈임에도 가격이 상당합니다.

그나마, 좌측의 스카이리트가 조금 신뢰도?가 있는 것 같습니다만, 호환 주제에 너무 비싸죠.

==

정말 국내 사용 후기가 너무나 없습니다.

그저 시네마틱 용이라는 기초적인 정보만 나열한 블로그만 있더군요.



시네마틱 기초 요구 조건 : 

렌즈가 시네마틱에서 요구하는 품질에 부응해야 합니다.

1. 비네팅이 전혀 없는, 좌/우 넓은 화각을 지원해야 합니다.
(가장자리 왜곡이 있는 초광각에서 자르는 것과는 결과물이 전혀 다릅니다 : 이건 방문자께서도 쉽게 확인이 가능합니다)

애너모픽 렌즈를 착용하면, 리니어(평면)나 협각(망원) 렌즈에서 비네팅 없는 좌우 마진이 늘어납니다.

*주 : 호환 렌즈는 편집 비율 조절(디스퀴징)이 필요합니다.
(영상 비율 편집 필수 임을 주의 / 고프로 13 시네마렌즈는 압축이 동시에 되어, 편집 불필요)


2. 시네마틱이라는 규격은, 장착 기기에 S/W, H/W 에서 수평 유지가 필요합니다.
(1인칭 시점에 특별한 것 외에, 영화에서 수평 유지 안되는 영상을 본 적이 있습니까?)

"고프로 수평 유지 기능은 EIS 화각을 더 잘라 확대 / 화질이 나빠지고, 화각이 대폭 줄어들어 곤란하다"


3. 장착 기기에서 24F 필름 프레임을 설정해야 합니다.
(주 : 60f(2x) 촬영 / 1x 재생은 "시네마틱 본질"과는 관계없는 영상 슬로우 효과일 뿐입니다)


4. 늬리끼리한(5000K) 색상(화이트발란스)을 무의식적으로 시네마틱이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는데, 크게 관계는 없지만? 효과가 비슷하긴 할 겁니다.
(아마 그 이유가 과거 필름 영사기(카본을 태워 밝기를 유지) / 영사 빛 효과(누래짐) 때문일 것입니다)

이건 물리적 렌즈 구입과 관계없는 부분이므로 넘어가겠습니다.


5. 3번 4번 항목에 추가로 필름 영사기(구)에 의한 의도하지 않은 효과는 가장자리 검은 비네팅 효과 입니다.
(비네팅 역시 구 영사기의 부산물 효과(아날로그)입니다)

이것 역시 렌즈 구입과 관계없는 부분이므로 넘어갑니다.
 
6. 화면 비율은 시네마(영화산업) 표준(대부분 미국이겠지만) 정의한 뭐시기?가 있습니다.
(예 : 1.33x / 1.21x)


6. 렌즈 플레어?
(수평형 일자 렌즈 플레어를 언급하는 영상을 봤는데, 품질도 인위적이더군요)

"이것이 시네마틱에 결정적인 요소인가?"

"하지만, 뭔가 멋져 보여"


7. 8bit보다는 HDR 영상(10bit)이 필름 품질에 더 유리할 것입니다.


8. ND 필터가 추가로 있으면 좋지만, 현재 플랫폼으로 불가능할 것입니다.



호환 렌즈의 문제점 : 

1. 고프로9~10에서 위 1번 항목에 맞는 조건은 "리니어 화각과 협각(망원)" 뿐입니다.
(최소 초점 거리와 최대 초점 거리는 고프로가 만족하기 어려울 수 있어 돈 낭비일 수 있습니다)


2. 수평이 유지되어야 하고 안정화가 필요합니다.
(시네마에서 짐벌 여부는 품질 자체가 비교 불가의 필수 조건입니다)

호환 렌즈 후기는 공통적으로, 하이퍼스무스(EIS)"를 OFF 해야 한다는 문제를 말합니다.

"Why??"

기본적으로 OIS가 아닌, EIS 고프로는 가장자리를 잘라 확대하므로 화각과 화질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고 있을 것입니다.

호환 렌즈는 하이퍼스무스를 끄지 않으면, 움직임시 위/아래/좌/우 검은 비네팅이 생기는 것입니다.
(호환 렌즈 구입 사용자가 이런 이야기를 하는 유튜버가 드뭅니다)

그런데, 하이퍼스무스를 끄면 액션캠의 의미가 없어지게 되므로 짐벌을 사용할 수밖에 없게 됩니다.
(그렇지 않다면, 정적인 영상만 찍어야 합니다 : 실제로 정적인 영상을 올리며 그 결점을 감춘 유튜브 영상들이 많습니다)


3. 동영상은 리니어 화각 이하이어야 한다.
(최대한 좌우 마진(왜곡되지 않는 화각 확보)을 더 늘리기 위한 고민과 상충합니다)

광각(W)에서 디지털줌(1.1x~1.4x 확대)으로 보완(손떨방)하고, 하이퍼스무스를 OFF하는 차선책도 크게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디지털 확대해서 리니어 비슷하게 구현하고(똑같음X), 하이퍼스무스를 OFF해서 최대한 화각을 보장하는 방법)

짐벌 보유가 압도적 유리한 조건을 만들지만, 추가 렌즈를 장착한 무게를 만족하는 고프로 짐벌이 그리 많지 않는 것을 알게 될 것입니다.
(예 : isteady pro4는 최대 150g 중량 제한(고프로9~13무게)이 있습니다)

아니면, 지윤 크레인M2 or M3s등은 만족하지만 "이쯤되면" 취미로 영상 촬영하는 사람은 "내가 왜 이러고 있나?"라는 생각을 하겠죠.
(크기와 무게)

즉, 애너모픽 호환 렌즈 구입 예정이라면 "짐벌" 이라는 변수를 반드시 생각해야 합니다.


4. 우리는 액션캠(고프로)에 장착할 악세사리를 말하고 있습니다.

"네..."

액션캠을 사용하는 사람은, '가벼운 마음으로 편리하게' 라는 관념이 무의식적으로 있습니다.

반대로 말하면, '대포 카메라'들고 가벼운 마음으로 찍지는 않겠죠?

저는 여기에서 호환 렌즈 + 액션캠의 한계점을 느끼고 구입을 망설이게 된 것입니다.

지금은, "구형 고프로 호환렌즈 입문"에 대해 말하고 있습니다.


보시다시피, 호환 렌즈 설명서인데 설정법이 "대부분 이것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협각과 리니어 화각에서 "사진" 모드와 "비디오" 모드에서 제한하는 화각을 사용해야 합니다.

좌측 그림처럼, SV 나 W 화각을 설정하면, 물리 렌즈가 가리게 됩니다.

고프로에서 비네팅 없는 좌우 마진을 늘이는 방법은 L 와 N 화각 뿐입니다.
(그기다 협각(N)이 제거된 고프로 신버전은 다시 생각해야 합니다!)


때문에, 그림 처럼 호환 렌즈의 최소 / 최대 초점 거리별 가격이 차이 나고 있습니다.
(아마도 위 렌즈를 구입하면 초점 거리를 지원할 것으로 보입니다)

개인적으로 최대 70mm가 적합하다 생각합니다.
(혹시, 아시는지 모르지만 "인간의 시야각"이 70~80mm라고 합니다)


*초점 거리 :

초점 거리가 멀면(망원) 멀리 있는 사물을 가까이 보여 시네마틱(평면)에 유리하고, 초점 거리가 가까우면(광각) 멀리 있는 사물을 모두 포함하여 모두 담겨 보일 것입니다.
(망원 대상(평면)과 광각(왜곡)의 대상) 

망원은 (70mm)에 가까워지므로 비네팅이 없고, 광각(17mm)은 넓어져 비네팅이 있습니다.
(최소/최대를 포함하므로, 가변은 15mm - 35mm 이런 식으로 표현합니다)

그래서, 서두에 광각을 잘라 쓰는 것과 평면은 다르다고 했습니다.


그림에서 보다시피, 시네마틱 왜곡없는 평면은 협각이 최선이고 리니어가 차선입니다.


고프로 렌즈 화각별 초점거리를 정리해봤습니다.

고프로13에서 하이퍼뷰 라는 화각은 12mm로 대단히 넓습니다.
(고프로의 화각이 계속 넓어지는 것은 EIS 잘라내기(하이퍼스무스) 마진 때문일 것입니다)

그리고,13에서 센서가 1:1 비율(8:7)로 가까워져, 그것에 맞춰 리니어 화각이 25~31로 더 평면스러워졌습니다.
(기존은, 19~39가 리니어 화각입니다)




[잡담]





전문적인 시네마틱 영상이라면, 다른 플랫폼을 찾는 것이 정신 건강에 좋을 수 있습니다.

아니면, 호환 렌즈가 아닌 고프로 13 전용을 기다려 보는 것도 좋습니다.


어쩌면, 짐벌과 조합은 차라리 "플래그십 스마트폰"으로 시네마틱 효과를 구현하는 것이 보통 사람에겐 더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아이폰의 경우, 1080P도 HDR를 지원하는데, 24F를 1080P에서 지원하지 않는 단점이 있긴 합니다.)


고프로 협각(27mm)과 비슷한, 아이폰 (1x ) 26mm 광각
(+77mm 까지도 가능)

아이폰(시네마틱 모드 아님)에 기본 필터 +  1x / 3x 인코딩 조합도 충분한 대안이 됩니다.
(1x도 가장자리 왜곡이 적은 편이기도 하고, 아쉽지만 편집으로 해결 가능한 수준입니다)

==

추측을 하지 않으려고 노력하기에 물건을 사보고 후기를 남기는데,...

"추측" 이 아님을 아래 그림에서 간접으로 알 수 있습니다.


보시다시피, 고프로13 전용 렌즈를 통해 지금껏 말했던 것이 사실로 드러남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최대 초점 거리가 얼마인지 고프로13 공홈에 설명이 없습니다.


고프로13 애너모픽 렌즈 3월 25일 출시 소식과 간단한 정리 :


4K / 5.3K 지원, 24f / 30f / 60f / 120f 지원

21:9 단일 비율로 비율 편집 없이, 4가지 리니어 화각 넓이 제공


*경고 : 호환 렌즈는 비율(압축)편집을 꼭 해야 합니다.

호환 렌즈는 촬영하면 애너모픽 비율이 자동으로 되는 것이 아닌, 왜곡된(위/아래)영상이므로 반드시 편집을 거쳐야 합니다.

따라서, 단순 촬영 후 단순 저장은 왜곡된 영상임을 알아야 합니다.


그에 비해, 고프로13 전용 애너모픽 렌즈은 촬영과 동시에 애너모픽 비율로 자동 저장됩니다.


기본리니어 - 울트라리니어(왜곡 덜함) / 광각 - 울트라광각(왜곡 있음) 

하이퍼스무스 지원


무지개색 렌즈 플레어와 화각에 따른 렌즈 플레어의 왜곡 있음.

사진은 표준 모드외 지원하지 않음.
(기본 시네마틱 프로튠 단일 기능만을 위한 용도에 가까움)

마치, 고프로9 출시 초광각 렌즈 초기 버전(v1.0)을 보는 듯 합니다.
(프로튠 제한)





[기타]





아래 테스트 그림처럼, 시네마틱 비율은 5K 4K 기준 "1.333X"일 것입니다.
(주 : 해상도가 아닌 비율  - 프리미어 프로 HD Anamorphic 비율 적용)


16:9 모니터 전체 화면에서는 위/아래 검은 배경이 보일 것입니다.
(영상은 블로그 플랫폼 문제로 9프레임(GIF)이지만, HDR 영상(10bit) 24F 인코딩입니다)

이런 HDR 화면에 CPL or ND 필터(빛 반사 문제)만 있으면 딱인데...

링크 : [GIF] 고프로(9)에 추가 ND 렌즈(필터)는 어떨 때 사용하는 것?

시네마틱 영역에서 "수평 유지(짐벌) + 떨림 없음"이 왜 중요한지 알 것입니다.

*주 : 비네팅 효과(1)광각에 의한 가장자리 왜곡(2)은 표현은 같지만, 내용은 다릅니다.
(위 샘플 영상의 가장자리는 영상 왜곡이 아닌 비네팅(검은 효과)입니다)


시퀸스 설정에서 1.33x 비율(렌즈 기준)을 선택하면 됩니다.
(렌즈 배수 1.33x = 촬영 영상 화면 크기 1.33배로 확대하면 된다)

최대한 고해상도로 촬영하는 것이 편집에 이득일 것입니다.

*주 : 호환 렌즈는 반드시 비율(압축된)후 작업을 해야 합니다.
(압축 : 원본이 위/아래로 늘어났을 때)


당연하겠지만, 늘어나지 않은 일반 영상을 인위적으로 늘이면 안 될 것입니다.
(그래봤자, 일반 영상을 위 아래를 줄이고 늘인다고 시네마틱 화각을 가진 영상이 되지 않습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소중한 의견, 가급적 빠른 답변을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