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3월 6일 목요일

프리미어 프로 (구)버전에 있던 Roll Effect 유사 효과 구현하기

 예전 CS(구)버전에 있었던, '롤 이펙트' 효과가 언제부터 제거되어, 그 효과를 구현하려면 좀 불편하게 되었습니다.

신 버전(예 : 프리미어 프로 2023)에서 그와 비슷한 효과를 구현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살펴 보시죠.


이런 효과를 말하는 것입니다.
(비가 위에서 아래로 지속적으로 내리거나, 대상이 반복적으로 움직일 때, 효과적이었던 이펙트가 'Roll' 이었습니다)

자막도 똑같이 응용할 수 있습니다.


1. 우선 하나의 이미지를 불러와 복사합니다.
(복사해서 불러와도 되구요)


2. 첫 번째 이미지를 트랙에 배치시키고, 시작점을 "시계 아이콘"을 클릭해 지정해 줍니다.

"시작점은 960"입니다.


3. 이미지가 우측으로 이동해 끝나는(완전 사라지는) 지점을 역시 클릭(입력값 확인) 합니다.

"위의 이미지 완전 사라짐 위치는 2400이군요"

완전히 사라지면, 왼쪽에서 다시 시작되어야 할 것임(한 트랙에서)에 고민했을 것입니다.

*주 : 종료점은 "이미지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4. 다시 첫 번째 이미지를 "사라지기 시작하는 위치"와 동시에 "시작하는 위치"를 알아야 합니다.

그림과 같이 일단, 첫 번째 트랙에서 그 입력값을 기억하고 위치 시킵니다.


5. 위 그림은 1440이군요.

그 1440(사라짐과 동시에 나타나는 지점)값을 "복사된 새로운 상단 트랙"에 위치 시키고, 시계 아이콘을 클릭해 해당값을 입력합니다.
(이전 트랙(이제 하단 트랙이 된)에 있던 위치값은 지워주세요)


6. 이제 사라짐과 동시에 상단 트랙의 이미지가 좌측에서 나오는 위치가 정해졌습니다.

-480(안쪽에 이미지는 숨어 있겠죠)이군요.


7. "-480 상단 트랙 시작점"에서 "상단 트랙 종료점(960)"까지 설정합니다.

이렇게 되면, "960 하단 트랙 시작점"부터 반복 될 것입니다.

"-480은 상단 트랙 시작점이고, 960은 종료점입니다"  


인코딩 시간(길이)은, '편집 화면이 지저분하겠지만' 이렇게 사용하면 됩니다.


블로그 전용 / 유튜브 링크 일부 공개 영상입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소중한 의견, 가급적 빠른 답변을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