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3월 29일 토요일

[GIF] 고프로(9)에 추가 ND 렌즈(필터)는 어떨 때 사용하는 것?

 이전 CPL 가변식 렌즈에 이어, 이번에는 ND 가변식 렌즈 필요성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링크 : [GIF] 고프로(9)에 추가 CPL 렌즈(필터)는 사 볼만한 물건일까?

CPL 렌즈는 대기 중에 존재하는 빛 반사를 최소화 하여, 대상의 원래 색을 표현하는 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습니다.

다만, CPL은 움직임이 많은 액션캠에 가변식은 단점도 분명히 있었습니다.

이번에는 ND 렌즈와 CPL렌즈의 차이와 함께 ND필터 렌즈에 대한 고프로(액션캠)에 얼마나 효과적인 특징이 있는지 알아 볼 것입니다.

CPL이 통상의 밝기에 물체의 비친 빛 반사광을 줄인다면, ND는 밝은 환경에 과노출을 줄이는 (선글라스)데 효과가 있으며 부가적으로 모션 블러 효과(셔터 값 조절)도 있어 많이 쓰이는 것 같습니다.
(선글라스라고 한다면, 역시 빛이 충분한 상황에 사용하는 렌즈라고 느낌입니다)

*ND렌즈(필터)는 반사광을 줄이지 않으며, CPL의 상위 개념이 아닙니다.

*ND렌즈(필터)는 고프로에 짐벌이 필요(권장)할 수 있습니다.

주 : 고프로(액션캠) 조리개는 F2.5로 고정이며 가변할 수 없으므로, 이것과 연계된 이야기는 없을 것입니다.

셔터 값 : 

셔터 값이 빠르면(1/xxx) 프레임당(동일 시간에 많이 찍음 - 전체 프레임이 많음) 빛이 적으므로 어두울 것입니다.

예 : 60F / 부드러움 / 어두움

반대로, 셔트 값이 느리면(1/xx) 프레임당(동일 시간에 적게 찍음 - 전체 프레임이 적음) 빛이 많으므로 밝을 것입니다.

예 : 24F / 끊어짐 / 밝음

ND 사용 용도 :

(24F, 30F) 영상 촬영 셔터 값을 2배로 (1/48, 1/60)설정하여, 그 수동 셔터 값 대비 지나친 밝기가 연출 될 때 ND값을 이용 "밝기"를 조절해, 공장 기본 노출 및 ISO 한계값 문제를 해결하는데 사용됩니다.
(추가로, ND 조합에 의한 긴 셔터 값으로 모션 블러 유사 효과가 발생한다고 합니다)

과연, 정말로 그런지 알아 봅시다.

목록 :

1. ND의 대표적 특징

2. 모션 블러 효과는??

3. 필요성(목적성)

4. CPL과 전혀 다른 빛 감소 

5. 하이퍼스무스 약화 현상(ND렌즈와 짐벌)

살펴 보시죠.


렌즈 장착 전체 모양
(고프로9)


가변 방식 (이전 CPL 렌즈와 같은 구조) ND 렌즈입니다.

 ND 가변식을 선택한 이유는 상황에 맞는 잦은 렌즈 교체(4가지)가 번거롭기 때문입니다.

렌즈 겉 표면이 생각 외로 어두워, 잘못 배송 된 것이 아닌가 의심했습니다.


하지만, 분명히 ND4-32 이라 각인되어 있습니다.

숫자는, 4 - 8 - 16 - 32 어둡기를 설정할 수 있다는 것을 뜻합니다.

국내 재고를 가지고 판매하는 업체는 없으므로, 대부분 제품 배송은 해외 직구일 것입니다.

"직구.. 귀찮습니다"


보시다시피...

돌리면 어두워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정말로 "선글라스" 입니다.


거의 속이 안 보일 정도로 어두웠는데, "너무 어두운 것이 아닐까?" 라고 생각했지만 "곧 바로" 쓸데없는 생각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하단 GIF 참고


장착 그림(1)

표면에 지문이 묻어서 딱아 보았는데, 의외로 청소가 잘 안되어...

새 제품 코팅 효과인지, 제품에 포함된 천으로 해결되더군요.


장착 그림(2)

==

"그래서, 어떻게 쓰는데?"


24F 촬영 설정일 때.


24F 영상을 찍는다고 가정하면, 셔터 값을 1/48 (2배)로 설정합니다.

*이 공식은 인터넷에 널리 알려진 것일 뿐이며, 기본적으로 속도를 느리게(빛을 더 받음) 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눈이 매우 부신 환경(사막? 바닷가? 드론? 스키?)이라면 ND64이상 제품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수동 셔터값을 설정하면, 노출은 즉시 비활성화 됩니다.


플랫 색감 / 리니어 / 100 to 400

24F 설정 영상의 1/48셔터 값 설정 후, ND4 에서 32까지 가변 했을 때 변화 GIF 그림

엄청나게 어두울 것 같았지만, 야외에서 그것이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음을 알 수 있습니다.

"ND값은 굳이 숫자를 계산 할 필요가 없으며, 눈으로 바로 원하는 노출 값을 알 수 있습니다"

가변식의 장점일 것입니다.
(낱개로 각각 렌즈가 있었다면, 일일이 바꿔 끼워봐야 했을 것입니다)


모션 블러 효과를 알 수 있는 단편적인 그림입니다.

ND필터 쪽이 더 프레임이 부드럽게 연결되고 있습니다.

선풍기 속도가 다른 것이 아닙니다.
(동일 속도)

==

일상에서 여러 부분에서 모션 블러를 체험하고 있습니다.

사진(정지 화면)에 ND가 효과적(장 노출)이라고 알려져 있는데, "고프로 특성 문제로" 사진에 관해서 추가로 이야기 하지 않을 것입니다.

아래 2개의 사진(동영상 캡쳐)으로 대신합니다.


기본 렌즈에서 볼 수 없었던, 모션 블러 효과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기본 렌즈에서, 배경이 흐림 처리가 되지 않는 것은 여러분도 알고 있을 것입니다.


제품 이름은 FL-86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13까지 된다고 하는데, 아직 끼워보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제품 내 안내서에는 13 지원이라는 표기가 없습니다.



"그런데, 이런 거 꼭 필요 함?"

ND렌즈(필터)가 필요한 이유가 두 어 가지가 있다 할 수 있습니다.


1. 카메라로 설정 불가능한 환경(공장 기본 노출 + ISO 한계 값으로 해결되지 않을 때가 종종 있음)에 효과적입니다.
(대부분 빛이 강한 밝은 야외 상황)

예1 : 빛이 강한 환경에 너무 쨍해서 "노출을 낮추면 원하지 않는 색감이 나오고, ISO값은 100이하로 낮출 수 없어" 때때로 눈뽕 현상이 자주 발생할 때가 있습니다.
(가장 많이 경험하는, 하늘 색이 하얗게 날아가는 경우죠)

예2 : 역광(햇빛 정면)에 감성 효과가 있습니다.
(CPL은 역광에 효과가 없습니다)

첫 번째 이유가 가장 크다 할 수 있습니다.
(ND가 없다면, 이럴 때 노출을 낮추면 영상은 어두워지고 하이라이트는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2. 모션 블러 유사 효과(순간 이동, 움직이는 대상)가 발생합니다.
(앞서 선풍기 GIF에서 보듯이 효과가 조금 있습니다)

서두에 셔터 값이 길면 밝아지지만 영상 프레임이 적어 끊어진다고 했습니다.

셔터 값 + ND로 조합의 블러 효과가 "짭 호환 렌즈라서 그런지" 몰라도, 아직 "확" 와 닿지는 않았습니다.

효과는 아마도, 고프로 13 전용으로 나온 ND 렌즈 모듈이 가장 좋을 것입니다.
(공식 모듈 렌즈는 S/W 지원이 매우 좋습니다)

*ND + 잔상 효과 조합은 "조명 밝음"이 기준입니다.


ND 렌즈(필터)는 CPL과 다르게, 물체 반사광을 줄이지 못합니다.
(게시물 하단 두 번째 유튜브 영상에서 확인 가능)

CPL렌즈에 대해 알고 싶다면, 게시물 서두 링크를 방문하십시오.


CPL도 비슷한 억제 효과가 있지만, ND와 목적과 대상이 다릅니다.

CPL 렌즈는 물체(대상) 반사광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목적이다.





[잡담/후기]





첫 번째 문제의 해결은 확실히 보완 되었습니다.

이것이 거의 유일한 이득입니다.

두 번째로 동일 환경 조건에서 부가적인 모션 블러는 체감이 크지는 않았습니다.
(하지만, 전혀 없는 것도 아닙니다)

ND 가변식의 장점은, 계산해가며 바꿔 끼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었습니다.
(CPL은 특성상 가변식이 대상의 각도마다 효과가 달라 다소 단점으로 생각되었습니다)

*고프로13이 있고, ND가 필요한 사람은 'S/W를 완벽 지원'하는 고프로13을 추천합니다.


귀찮은 것 : 

1. HDR 사진 찍을 때, HDR 품질에 방해 되므로 렌즈를 교체해야 한다.

2. 실내(조명 약한)에서, 심각한 영향을 주므로 기본 렌즈로 교체해야 한다.

3.타임 워프는 '셔터 값을 조절할 수 없으므로', 조명에 따라 렌즈 교체는 선택입니다.
(모션 블러 효과는 없어집니다)

4. CPL 렌즈는 조명 상황에 따라 굳이 교체할 이유가 없습니다.


최대 단점 : 

ND 필터 어둡기로 '하이퍼스무스 약화' 되므로, 매우 밝은 주간(1)에 제한적으로 사용(2)되는 렌즈임을 기억해야 합니다.

"ND가 없으면 안돼" 라고 한다면, 고프로에도 짐벌을 설치(매우 권장)해야 합니다.
(고프로 EIS의 단점입니다)

보통 사람에게 일상에서 CPL만으로도 충분하다고 한 이유가, 이것 때문입니다.

시네마틱 영상(특징)을 구현하려면, ND렌즈는 필요할 것입니다.



호환 렌즈 품질 문제 : 

며칠 살펴 보니 마감이 미묘하게 좋지 않았습니다.

1. 렌즈를 돌릴 때 마다, 노이즈 "치직" 하는 소리가 거슬립니다.
(고프로는 마이크 위치가 렌즈에 매우 가까이 붙어 있음)

2. 가장자리에 접합 부분과 무지개 빛 빗살 무늬 코팅이 조금 신경 쓰입니다.
(위치상 영상에 영향을 주는 결함은 아닌데, 사용하다 보니 어느 날 안보입니다?)

3. 렌즈 제조사의 품질에 따라, 기본 화질이 나빠질 수 있습니다.
(기본 품질(화질)이 좋지 않음을 조금 느끼고 있는데, 제조사 가격 차이가 괜히 있는 것이 아니겠죠)


블로그 전용 / 유튜브 링크 일부 공개 영상입니다.


블로그 전용 / 유튜브 링크 일부 공개 영상입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소중한 의견, 가급적 빠른 답변을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