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11일 금요일

[GIF] ND렌즈(필터)는 고프로 하이퍼스무스 기능을 약화시킨다.

 이전 게시물에서 ND렌즈 구조와 기본 동작을 알아봤으며, ND가 처음이라면 생각하지 못했던 단점을 조금 더  알아보려 합니다.

ND렌즈 빛감소 효과 :

ND렌즈(필터)는 빛을 감소 시키기 때문에 하이퍼스무스(EIS) 기능에 악영향이 있다는 것입니다.
(사실상, ND값과 관계없이 장착하고 이동하는 것 만으로도 손떨방은 제대로 동작하지 않습니다)

저조도가 좋지 않은 고프로에 ND렌즈까지 사용하면, "하이퍼스무스"를 켰는데도 "떨림이 심해지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추가 권장 설정 :

ND렌즈 '모션 블러'는 하이퍼스무스도 OFF해야 효과가 좋지만, 현실적으로 어려울 것입니다.
(하이퍼스무스는 셔터값이 느리면 제대로 동작하지 않으며, "이동 촬영이 많다면" 추가 떨림 방지를 위한 짐벌이 "반드시" 필요하게 됩니다

이동을 최소화 하십시오.

ND렌즈 색감 변화 :

ND는 16값부터 특유의 선글라스 효과로 색감 변화가 나타나는데, 매우 신경 쓰일 것입니다.
(일상에서 햇빛에 선글라스를 써보면 느끼는 누런 색감이죠)

랜덤으로 색상 변화가 나타나는 것 역시 ISO범위값을 최대한 줄여주세요.

즉, ISO 범위 최소/최대값(예 : 100 to 100 or 200)이 가까울 수록 좋습니다.

살펴 보시죠.


ND16~32 설정값 적용 후, 걸음을 걸을 때마다 "턱 턱" 끊어짐을 느낄 수 있게 됩니다.
(하이퍼스무스가 켜져 있어도, 동작하지 않는다는 느낌을 받을 것)

이런 느낌은 조명이 떨어지는 상황(저조도)에서 발생하는, 아마도 많이 경험한 낮 익은 영상일 것입니다.

주간에 '기본 렌즈 or CPL 렌즈'를 사용하면, 볼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한 것이죠.


그리고, ND16~32 설정값에 색감 또한 "가끔이지만" 누렇게 변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화이트발란스 AUTO)

사실은, 봄 황사 때문이지만..높은(어두운) ND값은 색감을 더 왜곡시킨다.


ND16 or 32로 실험한 것인데, 확실히 보이도록 ND32로 유튜브는 테스트했습니다.

*참고 사항*
(굳이 비유하자면..?)

1. ND4~8은 일반적인 햇볕이 있는 보통 날씨(역광 / 반사광이 다소 엷은)에 적합합니다.
(맑은 겨울? or 그림자가 있을 수 있는 촬영 대상)

2. ND16은 화창한 날씨(역광 / 반사광이 있는)에 적합합니다.
(봄 / 가을, 그림자가 없는 촬영 대상)

3. ND32는 구름도 없는, 햇볕이 쨍한 매우 화창한 날씨(역광 / 눈 부신)에 적합합니다.
(한 여름, 그림자가 없는 촬영 대상)

예 : 등산을 하는데, 햇볕은 강하고 때때로 숲 속을 가로지르는 경우라면, ND4~8사이일 것입니다.
(ND를 이런 용도로는 쓰지 마십시오 - 쓸데없는 짓입니다)

의외로 ND32값을 설정할 일은 많지 않을 것입니다.

그리고, 흐린 날이나 비오는 날 선글라스 끼지 않겠죠?


ND 렌즈 사용 설정값 입니다.
(주의 : 하이퍼스무스 꺼짐은 실험을 위한 설정일 뿐입니다)

ND32대비 누래지는 색감을 상쇄하기 위해, 4000K로 설정(특정 계절 제한 : 황사)하였습니다.

그리고, 아래의 짐벌을 이용하였습니다.


실험에 사용한 짐벌은 isteady pro4 입니다.

언급한 제품보다 하이퍼스무스OFF 조합으로, 더 좋은 짐벌이 있다면 구입하십시오.
(고프로 용도는, 좋은 짐벌 찾기 매우 힘듭니다)


고프로 테스트에 "자꾸" 하이퍼스무스OFF와 짐벌 조합(품질)을 신경 쓰냐고 한다면..

고프로의 최대 단점인 "저조도" 문제와, "시네마틱 영상 - 모션 블러(ND)" 때문입니다.

저조도 문제와 하이퍼스무스와 깊은 관계가 있다는 것을 널리 알려진 사실이고, 시네마틱 렌즈(시네 영상 조건)으로 짐벌 사용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링크 : [GIF][구입 신중] 고프로(13) 전용 - 애너모픽(anamorphic) 렌즈(시네마틱) 살펴보기

링크 : [GIF] 고프로(9)에 추가 ND 렌즈(필터)는 어떨 때 사용하는 것? 


하이퍼스무스ON (& ND값32) + 짐벌

실험(RUN)을 위해, ND32(최대 어둡기)로 테스트 했습니다.

짐벌 + 하이퍼스무스 조합은 더 좋지만, 고프로라는 플랫폼에 "굳이" 짐벌을 추가해야 하는 이유를 찾지 못할 것입니다.
(보시다시피, ND 장착 상황에서도 짐벌이 추가되면 떨림이 전혀 없는 품질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하이퍼스무스ON(순정 고프로)은 ND렌즈 효과에 "짐벌이"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 부작용이 있을 것이겠죠.

==

하이퍼스무스는 짧은 셔터값에 반응하는 S/W안정화 방식입니다.

ND렌즈는 긴 셔터값을 위한 필터죠.



하이퍼스무스OFF + 짐벌

그래서, 하이퍼스무스OFF + 짐벌 조합으로 해보았는데 '아쉽게도' 만족스러운 결과가 나오지 않았습니다.

"유튜브에 나름 고수라고 하는 사람도, 이 문제는 고프로에서 해결할 수 없습니다"

고프로에 하이퍼스무스를 끄고 짐벌이라는 번거로움을 감수하는 이유는, 저조도의 이득과 ND효과의 이득, 그리고 시네마틱 / ND렌즈 사용 영상의 이득이 대표적입니다.

그러나, 어떠한 조합과 설정에도.., 그리고 조심스럽게 사용한다 해도, 결과물은 신통치 않을 것이겠죠


결론 :

ND렌즈에 짐벌을 사용하더라도, 최소한으로만 사용하십시오.

정적인 환경에서는 짐벌을 쓰지 않아도 되며, 이동간에 ND 사용이라면 "무조건" 짐벌을 써야 합니다.
(ND값이 높은데 이동 중이라면, 화면 떨림이 엄청 날 것입니다)


색감 문제는(ND렌즈 16이상일 때), 색감 왜곡(누렇게)을 이렇게(화이트발란스 4000K) 상쇄 할 수 있었습니다.
(영상 사진은 ND16값)

특유의 누런 색감을 상쇄 시키기 위해, 화이트발란스 자동을 4000K or 4500K로 변경 or 플랫 색감을 사용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습니다.
(주 : 보유한 고프로 모델마다 화이트발란스 정도가 다르므로 색감 선택은 유동적입니다)




[고민/후기]




하이퍼스무스를 켜면, 짐벌의 존재감이 없어지고 ND렌즈 효과를 누릴 수가 없게 된다.

하이퍼스무스를 끄면, 짐벌의 존재감은 높아지고 ND렌즈가 효과적이지만, 안정화 품질이 떨어진다.

예술적인? 정적인 영상이라면, 짐벌이 필요 없다.

활동적인 영상을 위해, 굳이 ND를 장착하고 이렇게 번거로운 짐벌을 들고 다녀야 할까?

물론, 떨림이 발생하지 않는 이동 수단(예 : 자동차)이 있다면 상황(짐벌X)은 낫다.

"ND렌즈(+모션 블러)를 자주 사용한다면, 고프로에도 짐벌(고급)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하지만, 추천하지 않으며(ND 때문에 짐벌을 사라구?) 짐벌 구입 비용을 아껴라)

기본 렌즈 or CPL이라면, 고프로라는 플랫폼에 짐벌은 거추장스러울 뿐이다.

 ND 또한 정적인 상황에서는 역시 "고프로 단독"으로 충분하다.


ND16값 (하이퍼스무스 OFF)+짐벌 사용

내가 잘못 본 건가??

왜 고프로에 심도 현상(아웃포커스 흐림)이 나타나는 것 같지?

"셔터 값이 길어지는 것이 여러 모로 이득이 있구나.."

이렇게, 특정 적인 위치에 정적인 움직임에는 재미가 있을 수 있습니다.


블로그 전용 / 유튜브 링크 일부 공개 영상입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소중한 의견, 가급적 빠른 답변을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