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게시물에서 ND렌즈 구조와 기본 동작을 알아봤으며, ND가 처음이라면
생각하지 못했던 단점을 조금 더 알아보려 합니다.
ND렌즈 빛감소 효과 :
ND렌즈(필터)는 빛을 감소 시키기 때문에 하이퍼스무스(EIS) 기능에 악영향이 있다는 것입니다.
(사실상, ND값과 관계없이 장착하고 이동하는 것 만으로도 손떨방은 제대로 동작하지 않습니다)
저조도가 좋지 않은 고프로에 ND렌즈까지 사용하면, "하이퍼스무스"를
켰는데도 "떨림이 심해지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추가 권장 설정 :
ND렌즈 '모션 블러'는 하이퍼스무스도 OFF해야 효과가 좋지만, 현실적으로 어려울 것입니다.
(하이퍼스무스는 셔터값이 느리면 제대로 동작하지 않으며, "이동 촬영이 많다면" 추가 떨림 방지를 위한 짐벌이 "반드시" 필요하게 됩니다)
이동을 최소화 하십시오.
ND렌즈 색감 변화 :
ND는 16값부터 특유의 선글라스 효과로 색감 변화가 나타나는데, 매우 신경
쓰일 것입니다.
(일상에서 햇빛에 선글라스를 써보면 느끼는 누런 색감이죠)
랜덤으로 색상 변화가 나타나는 것 역시 ISO범위값을 최대한 줄여주세요.
즉, ISO 범위 최소/최대값(예 : 100 to 100 or 200)이 가까울 수록 좋습니다.
살펴 보시죠.
![]() |
ND16~32 설정값 적용 후, 걸음을 걸을 때마다 "턱 턱" 끊어짐을 느낄 수 있게 됩니다. (하이퍼스무스가 켜져 있어도, 동작하지 않는다는 느낌을 받을 것) 이런 느낌은 조명이 떨어지는 상황(저조도)에서 발생하는, 아마도 많이 경험한 낮 익은 영상일 것입니다. 주간에 '기본 렌즈 or CPL 렌즈'를 사용하면, 볼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한 것이죠. |
![]() |
그리고, ND16~32 설정값에 색감 또한 "가끔이지만" 누렇게 변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화이트발란스 AUTO) 사실은, 봄 황사 때문이지만..높은(어두운) ND값은 색감을 더 왜곡시킨다. |
|
ND 렌즈 사용 설정값 입니다. (주의 : 하이퍼스무스 꺼짐은 실험을 위한 설정일 뿐입니다) ND32대비 누래지는 색감을 상쇄하기 위해, 4000K로 설정(특정 계절 제한 : 황사)하였습니다. 그리고, 아래의 짐벌을 이용하였습니다. |
|
실험에 사용한 짐벌은 isteady pro4 입니다. 언급한 제품보다 하이퍼스무스OFF 조합으로, 더 좋은 짐벌이 있다면 구입하십시오. (고프로 용도는, 좋은 짐벌 찾기 매우 힘듭니다) 고프로 테스트에 "자꾸" 하이퍼스무스OFF와 짐벌 조합(품질)을 신경 쓰냐고 한다면.. 고프로의 최대 단점인 "저조도" 문제와, "시네마틱 영상 - 모션 블러(ND)" 때문입니다. 저조도 문제와 하이퍼스무스와 깊은 관계가 있다는 것을 널리 알려진 사실이고, 시네마틱 렌즈(시네 영상 조건)으로 짐벌 사용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링크 : [GIF][구입 신중] 고프로(13) 전용 - 애너모픽(anamorphic) 렌즈(시네마틱) 살펴보기 링크 : [GIF] 고프로(9)에 추가 ND 렌즈(필터)는 어떨 때 사용하는 것? |
![]() |
ND16값 (하이퍼스무스 OFF)+짐벌 사용 내가 잘못 본 건가?? 왜 고프로에 심도 현상(아웃포커스 흐림)이 나타나는 것 같지? "셔터 값이 길어지는 것이 여러 모로 이득이 있구나.." 이렇게, 특정 적인 위치에 정적인 움직임에는 재미가 있을 수 있습니다. |
블로그 전용 / 유튜브 링크 일부 공개 영상입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소중한 의견, 가급적 빠른 답변을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