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7월 3일 수요일

프리미어 프로 불러오기와 인코딩 "아이폰 HDR 영상"이 하얗게(과노출) 보일 때.

  *주 : 게시물을 업로드하고 다시 읽어보니 "오해하기 딱 좋은" 상태라는 것을 발견하고, 재수정 되었음을 알려 드립니다.

아이폰(스마트폰) HDR or HDR 영상으로 촬영 한 후, 윈도우 탐색기에서 *HDR 특성 외에 문제는 없어 보이는데 프리미어 프로에서 불러오면 하얗게 과노출로 보일 때 수정 방법입니다.

*HDR 특성 : HDR 조건(모니터/그래픽카드)이 되지 못할 때, 노출로 인한 색이 빠진 것 같은 것.

*주 : HDR 특성(노출 및 색조)는 해당 기기의 센서와 렌즈 능력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HDR 영상이라고 해도, 촬영 기기에 따라 영상의 품질이 차이 납니다)

링크 : 아이폰(13), 사진과 동영상 옵션 "HDR효과?" (Windows 10) ON/OFF 에 관한.


원인 :


편집할 색 범위(시퀸스)로 그렇게 보이는 것이며, 프리미어어 프로 or HDR 영상이 잘못된 것은 아닙니다.

*주 : HDR 사진이 아니라 동영상에 관한 것입니다.

영상 불러오기에서(미리 보기 디코딩 및 인코딩) 수정하는 방법은, 3가지 방법 중 시퀸스 선택/ 미디어 속성 / 추가로 출력(인코딩)시 수정하는 것의 고려 과정이 있겠네요.

살펴 보시죠.
(작은 용량(200kb 이하)의 GIF 예제 파일이 있습니다)

*주 : 프리미어 프로 버전에 따라 항목(옵션)이 다르게 보일 수 있습니다.


게시물을 위해 HDR 영상을 찍었습니다.
(HDR 조건이 갖추어지지 않은 상황에 HDR 영상은 그림과 비슷한 특성으로 보일 것입니다)

*주 : 색이 정상적이 아닌 것 같아 보이는 이유는 재생 환경이 HDR 조건을 만족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어쨋든 원본은 과노출이 아닌 영상의 캡쳐 이미지 입니다.


그런데, 프리미어 프로에서 불러오니 그림과 같이 과노출(심할 때는 하얗게 보임)이 보입니다.
(누가 봐도 앞서 캡쳐 이미지 원본과 다르죠)

*주 : 앞과 달리 오히려 색상은 정상적으로 보이는데, 단지 과노출 현상(오늘 주제)이 거슬릴 것입니다.
(그냥 노출값만 보정하면 되지 않나요? 라고 생각하는 분은 게시물 하단 "잡담 영상 설명"을 참고하십시오)

책상 위 반사광과 ODD 옆면을 보십시오.
(아예 흰색입니다 그려...)


영상을 불러온 후, 트랙에 드래그를 하면 위와 같이 "기존 시퀸스"를 사용하면 이런 메시지 상자가 열립니다.

1번을 선택하면, 영상 원본을 현재 시퀸스를 무시하고 불러올 것입니다.

2번을 선택하면, 영상 원본의 모든 조건이 기존 시퀸스에 맞춰질 것입니다.

우선 1번을 선택합니다.

==

다음은 원본 영상에 맞춘 "Keep existing settings(영상 속성 기준)"를 선택한 상황의 방법입니다.


그림과 같이 기존 시퀸스(709)에 HDR(2100)영상 속성을 유지한 채, 불러오는 방법을 선택했습니다.


방법 1 :

위 그림처럼, 원본이 과노출 현상이 있을 것입니다.

1. 미디어(해당 원본 HDR영상)을 우클릭 합니다.

2. 수정을 선택합니다.

3. 인터럽터 푸티지를 선택합니다.


해당 항목 최하단 Color Space Overider 를 선택하여, 색 범위를 지정합니다.

과노출 HDR을 불러왔다면, Rec 2100HLG 일 것입니다.

이것을(과노출이 있는 영상) Rec 709로 바꾸어 줍니다.


영상 소스가 원본 색 범위로 수정되었습니다.
(과노출 현상의 Rec 2100HLG를 Rec 709로 바꾼 상황입니다)

Gif 파일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과노출이 변경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문제점 :

이 방법은 시퀸스가 709로 SDR이므로, 영상의 속성을 709로 바꾸면 HDR 속성은 사라지게 됩니다.
(단, 출력(Export) 인코딩 옵션 2100HLG로 선택하면 HDR 속성이 유지되지만, 색상 오류 + 어두움이 추가되므로 혼용을 권장하지 않습니다

즉, 노출 보정을 위해 HDR을 포기한다면, SDR로 인코딩해야 정삭적인 색범위가 된다는 뜻입니다.


방법 2 :

이 방법은 앞서 미디어에 시퀸스 속성을 HDR로 바꾸는 방법(HDR유지)입니다.
(영상은 미디어 속성 유지(1)로 불러온 상황입니다)

1. 해당 영상에 속한 "시퀸스"를 우클릭 합니다.

2. 시퀸스 세팅을 클릭합니다.


3. 해당 시퀸스 범위, Rec 709로 되어 있는 것(되어 있다면)을 2100HLG로 변경하고 OK를 눌러 줍니다.
(눈치채셨겠지만, HDR 영상은 새로운 시퀸스를 만들 때 2100HLG 색 범위로 만들면 됩니다)

==

*팁 : 시퀸스 수정은 다른 용도로도 사용됩니다.
(예 : 30F 촬영 영상을 24F로 바꾸고 싶다면, 마찬가지로 이런 방법을 통해 전활 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과노출로 보이던 영상이 원본과 같은 색 범위로 맞추어졌습니다.

==

문제점 : 

2100시퀸스로 전환하였고, 2100 HDR 미디어 소스상태에서 2100으로 출력하게 되면, 미호환 환경(SDR재생환경)에서 색상(채도)이 빠진 현상으로 보일 것입니다.

==

*2가지 방법 중, 자신이 작업하기 편리하고 출력하기를 원하는 하나의 방법만 적용하면 됩니다.
(과노출 제거를 통한 각 미디어 SDR 변경 / 과노출 제거를 통한 시퀸스 HDR 유지)



"아니!"

"뭔가 중요한 것을 놓친 것 같은데?"




방법 3(Export) :

앞서 방법이 어떤 것을 선택하였든, 편집 후 출력시 HDR 속성을 유지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만약, SDR 출력을 원한다면, Rec 2100HLG를 Rec 709로 옵션만 변경 / 선택합니다)


인코딩할 영상을 H.264로 할 경우와, H265로 할 경우 항목(옵션 표기법)이 다릅니다.


설명 :

공통으로, 과노출이 수정된 HDR영상을 프로파일을 High10, Main10으로 변경하여야 합니다.

메타 데이터를 포함할 경우과 그렇지 않은 경우를 선택하십시오.
(주 : 포함할 경우 소프트웨어 인코딩만 가능합니다)

포함하지 않는다고 HDR이 아닌 것은 아니므로, 필요한 경우만 체크합니다.

체크 / 언체크를 번갈아 클릭하면 우측 아래 출력물 속성 정보가 변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주 : 위 그림은, 출력시 서로 다른 옵션을 선택하여 색상이 잘못된 경우(반대 상황)의 연출입니다.
(앞서 언급한, 709 시퀸스 미디어 속성을 2100으로 혼용 출력하면, 색상 왜곡이 발생되는 연출입니다)

과 노출 제거 방법에 따른, SDR 출력 미디어 선택 수정은 Rec 709로 출력해야 할 것입니다.
(과 노출 제거 방법에 따른, HDR 출력 시퀸스 수정은 Rec 2100HLG 설정을 선택해야 합니다)


*오해 금지 : 

단, 시퀸스가 무엇이든 원본이 HDR이면 미디어 파일 속성을 709로 변경한다 하더라도, 출력시 2100HLG 옵션을 선택하면 무조건 HDR 속성 정보도 포함되어 인코딩 출력됩니다.

즉, 위 그림과 같이 혼용되면 색상 또한 변경(왜곡)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이것을 잘못 설정하여 색상이 왜곡된 영상을 SNS에 올려진 것을 종종 보기도 합니다)


*팁 :


처음부터 HDR로 출력 하고 싶으면, 시퀸스를 2100HLG 옵션을 포함한 뉴 시퀸스를 만들어 작업하십시오.



*정리 : 

1. 709시퀸스에서 HDR 미디어 개별 파일을 709의 색 범위를 설정(과 노출 제거)하면, 출력시 709로 지정한다.
(SDR이 되므로, HDR출력을 위해 2100HLG 옵션으로 HDR속성을 유지하면 색상 왜곡이 발생한다)

2. HDR 미디어 파일에 속한 시퀸스를 2100 색 범위를 설정(과 노출 제거)하면, 출력시 2100으로 지정한다.
(HDR로 출력되지만, 미호환 환경(물리적 or SNS 플랫폼)에서는 색빠짐이 있을 것이다)

3. 공통 : 프로파일은 main10(h265) or high10(h264) 입니다.
(Export)

과노출 제거 방법 선택 -> 709(파일) or 2100(시퀸스) 선택(편집) - 출력시 HDR / SDR 선택.

==

*프리미어 프로에서 색상 범위를 변경하여도, 별도로 저장된 파일 원본 영상은 변경(오염)되지 않습니다.


보다 전문적인 추가 정보가 필요하다면, 다음 링크(어도비)를 방문 하십시오.

링크 : https://community.adobe.com/t5/premiere-pro-discussions/faq-how-to-fix-saturated-over-exposed-hlg-hdr-clips-in-premiere-pro-v-22/td-p/12489252?profile.language=en





[기타]





HDR 영상에 대해 (현실적 문제) : 

범용 모니터에서 HDR 영상을 처음 접하면, 10bit HDR로 촬영 영상의 '색상 빠짐'이 정말 어색할 것입니다.

하지만, "그래픽 카드나 모니터의 문제 혹은 s/w출력 경험 문제"이지 영상(원본)이 잘못된 것은 절대 아닙니다.

(자신이 가진 모니터 & 그래픽 카드의 지원 문제라는 것이죠)

"물론, 만능 자본주의로 해결하려 하는 사람이 틀림없이 있을 것인 데, 결국 돈 낭비를 하게 될지도 모릅니다"
(장비에 대한 욕심보다 우선 자신의 재능으로 해결 하는 것에 더 투자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1. 물리적 밝기(1000nit) HDR 조건의 문제로, 대부분 모니터가 400nit 이하인 것을 생각하면 효용성에 의심이 된다.
(밝기를 낮춘다면 영상의 색빠짐에 실망스럽고, 높다면 그저 시청자에게 눈뽕의 불쾌한 느낌만 줄 수 있다)

2. HDR10(10bit 돌비)은 1000nit를 물리적으로 지원하는 모니터여야 한다.
(특수한 직업 종사자(영상 제작자)에게 좀 더 나은 화질을 위해(비교를 위한) 필요한 도구일 뿐인 지금의 HDR 의 위치이다)

단, 1000nit 이상의 '스마트폰 디스플레이'는 당연히 HDR을 지원하고 당장 확인 가능합니다.

3. S/W 게임에서 HDR을 게임이 지원하지 않으면 전혀 의미가 없다.
(스트리밍도 지원하지 않을 뿐더러, 오히려 어중간한 현실적인 문제로 SDR로 낮춰야 한다) 

4. 현실적은 대안은 100% 제대로 된 무지 막지 비싼 HDR 모니터에 대한 생각보다, 구입 가능한 4K 모니터 SDR이 더 나은 선택일 수 있을 것입니다.
(고해상도 4K로 촬영한(만들어 진) HDR인 척 하는 SDR영상이 현실 모니터에 더 범용적이라는 것?)


유튜브 플랫폼 4K HDR이라는 여행 영상에 세부 정보를 보면, 여전히 709 SDR 표준 영상임을 알 수 있습니다.
(유튜브가 시청자 범용 환경에 맞춘 자체 개발 인코딩이겠지요)

그리고, 유튜브는 VP9 코덱으로 변환 재생됩니다.

==

이것을 확인하기 위해 직접 HDR로 촬영해서 Rec 2100HLG(HDR)을 올려서 실험해 봤습니다.
(유튜브 플랫폼은 지금까지 설명한 곤란한 문제를 호환SDR로 자체 변환함을 알 수 있었습니다)

-게시물 최하단 유튜브 영상 참고-


영상 출력(Export)에 따른 HDR ON/OFF

*Transfer : bt709는 SDR 범위라는 뜻입니다.


2100HLG(HDR 인코딩영상) 색상 범위를 가진 영상(SDR 선택 가능)입니다.

 1000nit 이상급의 스마트폰은 정상적인 색조와 노출값을 가지지만, 그 이하 모니터에서는 과노출로 표현된다.
(모니터가 물리적으로 재생 조건을 갖추지 못했으므로...)

*주 : 영상은 프리미어 프로로 2100HLG 시퀸스와 HDR 영상, 출력을 main10 / 2100HLG로 인코딩 되었습니다.


2100HLG(HDR 인코딩영상) 색상 범위를 가진 영상(SDR 선택 가능)입니다.

1000nit 이상급의 스마트폰은 정상적인 색조와 노출값을 가지지만, 그 이하 모니터에서 어둡거나 색빠짐으로 나타난다.
(모니터가 물리적으로 재생 조건을 갖추지 못했으므로...)

*주 : 영상은 프리미어 프로로 2100HLG 시퀸스와 HDR 영상, 출력을 main10 / 2100HLG로 인코딩 되었습니다.


Windows PC에서 아이폰 HDR 영상소스를 불러오려면, 위 그림과 같이 icloud.exe에서 "체크"를 반드시 하여야 합니다.


OBS 방송에도 그림과 같이 SDR 과 HDR의 밝기 설정과 색 범위가 지정할 수 있습니다.
(출력 환경이 HDR을 지원하지 않을 때 색 빠짐 혹은 과 노출이 보이면, 유튜버 또는 스트리머는 참고하십시오)

"하지만 사용할 일은 사실상 없을 것입니다"


OBS 다양한 기능에 HDR 과 SDR에 대한 옵션을 설정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할 일은 사실상 없을 것입니다"


갤럭시(안드로이드) 또한 아이폰과 같은 옵션들이 존재합니다.





[잡담]





스마트폰 HDR은 1080p로 적용 가능하고, 이런 저런 기본 필터로도 활용성이 좋은 편입니다.
(단, 100% 제대로 보려면 모니터 그래픽 카드등 소프트웨어 지원이 있어야 하겠지만 말이죠)

*주 : 실험에 사용한 플래그십 모두 HDR 촬영 지원 및 재생 효과는 동일

중복 투자 없이 HDR 미디어를 재생하거나 촬영할 수 있는 접근성 높은 물건은 "스마트폰"입니다.
(HDR 절대 조건인, 디스플레이 밝기 1000nit(플래그십)가 다 넘죠!)

하지만, 스마트폰이 아무리 HDR 조건을 만족해도 딜레마는.. 그 '작은 화면'으로 볼 때 HDR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 싶습니다.
(스마트폰은 크기 문제로 해상도가 높고 픽셀이 조밀해서, HDR을 켜도 작은 화면(효율성)에서 감동이 없습니다)

PC 모니터 1000nit 이상 HDR10을 갖춘 조건은 기본 1백만원 이상(최소)이어야 가능하다는 것을 검색해 보면 알 것입니다.
(여러분은 큰 화면으로 보고 싶을 것입니다)

==

HDR 촬영을 지원하는 vlog용? 전문(예 : 소니, 캐논)카메라도 생각할 것입니다.

하지만, 아주 비싼 것을 제외하고 동영상 장시간 촬영도 원활하지도 않고 투자 대비 가격(목적)도 비쌀 것입니다.
(예 : 소니 ZV시리즈, 그것도 4K에만 적용될 것입니다)

결국, 스마트폰 + 짐벌이 현실적 최고의 범용 조합이지만, 단점은 번거로움(이것 저것 + 크기 + 즉흥성)이 문제입니다.
(제가 고프로 신버전에 집착했던 이유겠지요 : 간편함)

"1년에 짐벌을 몇 번 들고 다녔지?"

"1번? 2번?"


==

HDR 영상에 관심이 있다고 해도 설명한 이런 저런 현실적인 문제에 고민을 하게 될 것입니다.


위 GIF 파일은, 노출값 보정 / 색 보정 / HDR 속성 변경등..방문자에게 "현실적인 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연출입니다.

색상 빠짐이 싫어 영상 소스 HDR(2100HLG)을 유지한 채 '임의로 노출을' 줄이면 SDR이 되어 의미가 없어지고, 원본 속성 그대로 편집하면 HDR 조건이 아닌 환경에는 눈뽕 아니면 어두움만 있을 것이다.
(색상을 유지하고 노출을 줄이면 709로 출력할 수 밖에 없고(SDR이 되고),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709시퀸스를 2100으로 출력하면 전체 색상이 황사가 낀듯 왜곡되며, 반대로 2100 시퀸스로 HDR 그대로 출력되면 HDR조건이 아닌 경우 색상이 죽어 어둡거나 눈뽕 문제가 발생한다)

==

누구라도, HDR로 촬영하고 '편집이나 기타 환경 문제'로 SDR로 출력하기 원하지 않을 것이다.

나만을 위한 H/W 환경에 맞춤(만능 자본주의)으로 나만의 영상이라면, 적절히 조절해서 아무 문제 없을 수 도 있다.

==

*709? HDR? HLG? : HLG는 SDR과 HDR 속성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색 범위 규격입니다.
(즉, 영상을 스위치 하나로(위 그림 참고), HDR SDR 시청자 환경(스마트TV)에 따라 맞출 수(바꿀 수) 있다는 것입니다)

다만, 그것 때문에 누구는 눈뽕 누구는 색빠짐(어두움)등을 서로 다른 경험을 할 수 있는 것이죠.
(PC 모니터)

==

*SNS플랫폼에 따른 눈뽕 및 색조 어두움 제거 팁 (SDR) :

굳이 범용 환경을 갖춘 모든 사람에게 보여준다고 한다면 다음과 같이 설정할 수 있습니다.
(주 : 유튜브 플랫폼은 2100으로 올려도 환경에 따라 자동 709로 표현됩니다: 최하단 유튜브 참고)

1. HDR 영상을 촬영 한 후, 프리미어 프로로 불러옵니다.
(709시퀸스 상황에서 영상은 2100HLG임을 그대로 확인(속성 유지)합니다)

게시물에서는 영상 소스를 709로 바꿨지만, 인터럽트 푸티지를 바꾸지 않고 속성 유지합니다.
(현재, 편집 화면에는 눈뽕 효과가 가득할 것입니다)

2. 추가로 "노출만" 적절한 수준(예 : -1.5)을 낮춥니다.
(눈뽕 가득한 2100HLG 파일이 그나마 봐줄 만 할 것입니다)

링크 :
 [GIF] 프리미어 프로에서 영상 색상 조절(밝게/어둡게/채도/대비/선명도/기타...) 적용하기

3. 출력은, 기존 시퀸스 709상태(SDR)를 이용합니다.
(이미 설명했다시피 색상 왜곡이 문제로, 출력(Export)역시 시퀸스 속성 709로 출력해야 합니다)

4. 출력 옵션에서, 2100HLG 대신 시퀸스 속성인 Rec 709 옵션만 변경 확인하고 출력합니다.
(HDR 속성(재생시 선택 불가)은 제거됩니다)


기대 효과 :

HDR 속성 제거로 모든 환경에 눈뽕은 없을 것입니다.

노출 낮춤 + SDR 효과
로 색상 빠짐 또한 덜할 것입니다.


==

*HDR 효과를 구분하는 원초적인 방법 :

하늘색이 하얗게 날아가는가? 구분이 되는가?

어두운 곳이 뭉개진 검은색인가? 구분이 되는 검은 색인가? 


HDR 촬영 기기마다 똑같은 HDR 영상인데, 노출값과 색조값이 다름을 알 수 있었습니다.
(예 : 유튜브에서 HDR 영상이라고 해도, 올린 사람의 촬영 기기마다 더 어둡고 밝을 수 있다는 것)

*주 : 위 캡쳐는 영상 캡쳐이며, 하나는 아이폰이고 하나는 갤럭시인데, 1:1로 비교할 수 없습니다.
(비교에 사용된 기기의 세대가(H/W) 각각 3년 차이가 납니다)


HDR에서 갤럭시는 굳이 노출값을 줄이지 않아도, SDR 범용 환경(HDR ON)에서 눈뽕과 색조 문제는 없었습니다.
(대신에, 전체적으로 빛을 못 받아, SDR에서도 너무 어두웠습니다)

세대 차이 : 센서 및 F1.8 과 F1.5의 차이

하지만, HDR에서 아이폰은 노출값을 줄이지 않으면 눈뽕(HDR ON / 위 GIF 참고)이 너무 심했습니다.
(빛을 너무 받아 SDR에서도 색조(채도)를 추가해야 했습니다)


아이폰(13)의 H/W와 갤럭시(S10)의 H/W가 차이(렌즈와 센서)가 클 것입니다.


이 영상은 유튜브에서 1080p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과노출 및 어두움 색조를 표현하기 위한 샘플입니다)

위 실험을 바탕으로, 유튜브 SNS에서 어떻게 표현되는 지 확인한 영상입니다.
(아래)


이 영상은 유튜브에서 1080p 이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유튜브 플랫폼은 2100HDR 무편집을 올려도 눈뽕 및 어두움은 없을 것입니다)


이 영상은 유튜브에서 1080p 이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SDR 시퀸스 및 SDR 출력한, HDR 2100 소스 영상입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소중한 의견, 가급적 빠른 답변을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