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을 찍어 편집 보관하거나, 인터넷 업로드시 자신의 영상에 깍두기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중에 코덱을 잘못 선택했을 수도 있지만, 보통은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이 "원본 영상의 비트레이트"를 지나치게 줄여서 편집했을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일반적으로 H.264로 (호환성 높음) 편집할 것입니다 )
링크 : 프리미어 프로 완성, H.264 인코딩(동영상 제작) 출력 세부 설정 2/2
*해상도와 프레임별 최소/최대 비트레이트를 알고 싶다면, 게시물 하단으로 바로 이동하십시오.
다음은, 유튜브 업로드나 편집 인코딩시 깍두기 현상이 나타날 때, 프리미어 프로를
통해 그것을 맞추어 깍두기 현상을 최소화 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살펴 보시죠.
주의 : 그림 하단 비디오 세팅은 비디오 미리보기 일 뿐, 인코딩 해상도가 아닙니다. 보통 유튜브 업로드 고화질 인코딩을 사용하기 위해, 1080P를 시퀸스를
한 단계 올려 사용하는 것을 팁으로 제시하는 글도 보아왔을 것입니다. 저
또한, 그렇게도 사용했지만 그것도 나름대로 불편한 점이 있습니다. (예
: 시퀸스 2.7k에 1080p로 올릴 때 작업의 번거로움 & 1080p의 확대
열화등...) 일단, 시퀸스를 올려 작업하는 것은 여기서 다루지
않습니다. (크게 도움 되는 것이 아니지만, 편집시 해상도 시퀸스가 높을 수록 화질이 나을 것임은 틀림없습니다 : 구글 자체 VP인코딩 방식에 의해) 1. 나홀로 or PC 감상용은, 1080p가 가장 무난한
용량과 시간을 단축하는 범용적인 해상도 입니다. (당연히 촬영 원본
해상도가 더 높다면, 높은 시퀸스를 선택하세요) 2. 깍두기
문제는 최소 해상도(1080p 에서~4K까지)가 직접적인 원인(관계)은 아닙니다. (물론, 해상도가 높으면 더 좋긴 하겠지만 깍두기에 직접적이지 않다는 말입니다) 이미
예상했겠지만, 적절한
작업 비트레이트 와 관계있다는 것이죠. 해상도와 비트레이트 중 하나를 굳이 선택하라면, 저는 비트레이트 높은 쪽을 선택하겠습니다.
1. 프리미어 프로(기타 다른 편집프로그램)에 이 옵션을 보았을
것입니다. 이것은 해상 해상도별 지원가능한 각종 옵션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합니다. (예 : 1080p 해상도라면 비트레이트 최대치가
5만) 2.7k, 4k 모두 지원 범위(프레임 최대수도 포함)가
달라집니다. 2. 프로 파일을 변경하여, 자신이 촬영한 영상의
비트레이트에 맞게 변경해야 합니다. (평소 신경 쓰지 않았다면,
레벨값 을 일단 최대치를 적용해 보겠습니다)
1. 위 그림처럼
VBR (가변 비트레이트) 를 선택하고, 자신의 원본 영상 최대치와 비슷하게 설정합니다. (주 :
원본 영상 비트레이트와 같을 수록 인코딩 시간도 빨라집니다) ==중요== *참고 : CBR(고정 비트레이트) 을 최대 로 잡으면 깍두기 문제에서 벗어 날 수 있습니다. 단, CBR를 선택할 경우, "무조건" 최대 비트레이트 로 잡아야 합니다. 하지만, 비트레이트 깍두기는 대상의 정보가 많을 때 그것을 코덱 비트레이트가 받쳐 주지 못하는 상황에 발생 하므로 CBR이 도움이 되지 않을 것 입니다.그것보다 H.264를 선택(가변폭이 적음)하는 것이 더 나을 것입니다. 아시다시피 H.265(HEVC)코덱이 용량은 적지만, H.264에 비해 가변 폭이 매우 큽 니다.
원본 영상의 비트레이트는 윈도우탐색기 정보로 쉽게 알 수 있습니다.
또는, 팟플레이어를 통해 알 수 있거나 (아래 그림) 샤나인코더
세부 정보로도 알 수 있습니다.
편집 후 영상 1. 보시다시피 인코딩된 영상이 변할 때마다
비트레이트가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VBR을 선택한
이유이고, 원본도 그렇다는 것이죠) 2. 따라서, 그것에 맞춰
인코딩도 융통성있게 1:1 대응해야 합니다. (비트레이트가 변화하는 데 편집시 일정하게 고정시켜 버리면(CBR), 영상
재생시 그 부족한 부분이 깍두기로 변할 수 있습니다 ) ==*주 : 앞서 설명한 CBR은 고정 비트레이트 입니다. 사용 용도가
있는데, 가변 상황이 적은 환경( 실내 or 정적인 영상 or 타임랩스 )에 CBR을 선택합니다. [기타/정리] 1. 깍두기 현상이 직접 영향을 주는
것은 편집 후, 원본의 비트레이트에 1:1 대응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고정된
촬영 영상(예:실내)이라면 깍두기 현상을 느낄 수 없습니다) 2.
해상도는 간접적으로 화질에 영향을 주지만, 이 문제에서 직접적인 원인은
아니다. (물론, 해상도가 높을 수록 화질은 더 낫습니다) 3.
편집 인코딩은, 원본 영상의 비트레이트와 최대한 맞추자. (단,
비트레이트가 원본과 같으면 용량은 커질 것이므로, 최소 기준(아래 그림) 을 참고하십시오) 4. 인터넷 업로드(유튜브)용이라면, 촬영시 "비트율"은 "높음"으로 설정하자. 5. 나홀로 or 로컬 감상용이라면, 원본과 같은 비트율로 인코딩하면 된다.*주 : 야외에서 촬영된 영상이라면, 촬영 영상내에 정보가 많을 수록
비트레이트는 변화합니다. (인코딩시 VBR 강력 권장) [잡담] 출력 부분에 대해 상세한 정보는 서두의 링크(본인 블로그)를
통해 참고하십시오. (주 : 하지만, 플랫폼 변수 도 있다는 것이 함정입니다)
권장하는 비트레이트(해상도별 최저치) (이 그림은 출처가 없는 어느 커뮤니티에서 보았는데, 잘 정리한 것 같습니다) 예 : 1080p + (60f)의 최소 비트레이트 확보량은 12000kbps(12Mbps )가
되어야 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7K로 해상도가 커지면, 2배의 비트레이트가 필요하게 됩니다 ) 그러니까, 영상의 해상도와 프레임이 결정되면 저 그림의 해당되는 비트레이트 이하로 인코딩을
하면 깍두기 현상을 볼 수 있다는 것이죠.
인터넷(유튜브)업로드용은, 최대한 높은 비트레이트 촬영하고 인코딩 하여 올리십시오. =Q : 네? 그렇게 해도 유튜브에서 깍두기 현상이 보인다구요? A : 플랫폼 문제 + 거름 차별 문제(자본주의 논리)가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업로드시 플랫폼에서 다시 자체 인코딩으로 변환될 것입니다. 유튜브(구글 애드센스)에서 돈 좀 벌어본다는 사람들이 유료로 전환(투자)하는 이유겠지요.구글(유튜브)은 광고로 수익을 내는 기업입니다. B : 실제 6만kbps로 영상을 올려도, 거름 채널은 화질이 구리거나 로딩이 느리다. "꼬우면 구독자 1000명이상 만들고 광고 띄우세요" 정적인 영상이거나 정지 환경(실내)은 1만kbps 이하라도 깍두기 현상이 없을 수 있습니다. (게임 방송 캠영상 or 일부 2D 이미지 게임이 '낮은 비트 레이트'임에도 깨지지 않는 이유)
VIDEO
이 영상은 유튜브에서 1080p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소중한 의견, 가급적 빠른 답변을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