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는 개인적인 의견과 경험이 많이 반영되므로, 객관적인 정보가 아닐 수도 있습니다.

이 블로그에서 찾기

2025년 7월 22일 화요일

현대 체크(T머니앱 X) 교통 기능(애플페이) 지갑앱 "등록" 과정

 T머니앱 회원 가입을 하지 않고, 순수하게 현대 카드(1)와 아이폰(2)으로 T머니 교통 기능을 활성화 하는 방법입니다.

조건/정보 :

1. 연결할 '현대 카드(국내/국외 모두 동일)'가 있을 것

2. iOS 17.2 버전 이상일 것

3. 충전(자동?) 선불형

4. 하나의 기기에 하나의 교통 기능만 등록
(주의 : 동일 계정 다른 종류(예 : 워치)기기 동일 카드 연동X)

5. 이 행위 이전 T머니를 별도로 가입하는 것이 아님

살펴 보시죠.


아이폰13 프로맥스

쇼츠 영상을 시도하다 다른 사람들이 올릴 것 같아 '사진으로 천천히 보기를 원하는 방문자'를 위해 정리했습니다


다음 등록 과정을 참고하십시오.

요점 : 추가 T머니앱이 없어도 아이폰 기본앱으로 등록 사용 가능하다.


아이폰 "지갑앱"을 열고, "교통 카드"를 클릭하고 Tmoney 항목을 순서대로 선택합니다.


금액 선택을 건너뛸 수 없으며, 최초 충전 금액을 입력합니다.

주의 : 5천원 이상 권장.
(자동 결제 최소 금액이 1만원 이상이고, 자동 충전 작동 최소 조건이 5천원 이기 때문입니다) 

말하자면, 5천원 이하 금액을 입력하고 이후 "자동 결제를 추가 설정하면" 추가로 1만원 즉시 더 충전됩니다. 

당장 쓰지 않는다면, 쓸데없이 1만 5천원이 되어 "잠 잘 수" 있습니다.


6천원은 바로 결제되어 충전됩니다.

최초 금액은 무조건 충전되어야 하며, 건너뛸 수 없습니다.


시간이 조금 걸릴 것입니다.

*주 : 결제는 우측 버튼을 두 번 눌러 실행하지만, 교통 기능은 화면이 꺼져 있어도 작동합니다.
(우측 사진 참고 : 빠른 승차 카드)

*주 : 익스프레스 기능은, 카드에 이 과정에서 기본값은 자동 등록입니다.
(나중에 끌 수 있으며, 끈다면 교통 카드 사용시 추가로 화면을 켜야 합니다)


자동 충전은 건너뛸 수 있습니다.

여기서 설정하는 최소 값은 1만원이며, 당장 결제되는 것이 아닌 확인 과정입니다.

자동 충전 "작동" 최소 금액은 5천원이며 5천원 이하를 선택할 수 없습니다.


자동 충전의 의미 : 

기존 네이버 머니 카드나 페이코 머니 실물 카드와 같은 직불 카드와 같은 비슷한 작동 구조이긴 하지만 다릅니다.
(네이버는 잔액이 없어도 자동으로 충전 결제되는 것이지만, T머니 애플 교통은 그 한계 값이 XX원이 있다는 것과 함께 결제 잔액 부족 즉시 충전이 아닙니다)

즉, 이용 교통 수단의 크기에 따라 "자동 충전 + 결제"가 동시에 안될 수 있다는 것이죠.

예 : 버스/지하철이 대부분 왕복 3000원이하인 점을 고려하면, 최소 5천원도 문제없지만(작동 구조) "택시(잔액 초과가 발생하는 교통 수단)"라면 5천원 이하 잔액일 때 결제에 문제가 생깁니다.

네이버는 잔액과 관계없이 충전과 동시에 즉시 결제(국내 '체크카드'처럼)가 되지만, 애플페이교통은 잔액에 의한 결제가 우선(1) 되고 이후에 충전되는 방식(2)이므로 잔액이 충분하지 않으면 결제되지 않게 됩니다.
(따라서, 이용하는 교통 수단에 따라 "최소 금액"과, 충전액도 그것에 따라 달라져야 하고, 때때로 미리 수동 충전할 필요성도 생깁니다)


ETC(팁) :

1. 교통 수단에 따라 수동 충전을 하고 싶다면, 자동 충전을 일시 취소하고 수동으로 입력하십시오. 
(어쩌다 택시를 타게 되는 상황이라면(고액 요금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면), 미리 충전합니다)

2. T머니앱이 있다면, 최소 금액을 더  낮출 수 있습니다.
(예 : 최소 1천원 / 자동 5천원)


결제 처리 중 : 결제가 아니라 5천원 이하가 될 때 충전할 금액 확인 설정입니다.
(돈이 결제되는 것이 아닙니다)

완료 되었습니다.


교통 기능과 기본 현대 카드 결제 기능은 서로 겹치지 않으니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현대 카드 일반 결제 기능이 기본값이며, 현대 카드가 교통 카드 기능이 있는 것이 아닙니다.

교통 기능은 전적으로 T머니가 담당합니다.
(현대 카드는 충전만 담당합니다)


익스프레스 교통 카드 기능은 T머니가 "켬", 현대카드는 "끔"이 기본값입니다.


주의할 점은,"현대체크(충전)카드 "익스프레이스 교통 카드"결제 옵션은 "없음"을 해야 합니다.

현대 체크 항목에서는 익스프레스 교통 기능은 꺼야 한다는 것이죠.
(오로지, 교통 기능은 T머니(ON)가 담당합니다)

그리고, 혹시나 알 수 없는 오류를 위해 설정 후 "아이폰을 한 번 재부팅" 해주는 것도 좋습니다.

저는 이 문제가 아니더라도, 평소 뭔가 이상한 느낌이 있으면 재부팅하는 습관이 있습니다.

앱을 새로 설치한다든가, 아니면 시스템에 중요한 설정을 했다든가 하면 말이죠.

그 외 NFC 결제나 오류는 "기기" or "인간" 버그 입니다.





[기타/잡담]




교통 기능은 "전국(한국 전역)"입니다.

2025, 7월 22일부터 작동합니다.

*주 : T머니 교통은 한국 전용입니다.
(각 나라마다 교통 카드는 그 나라 전용(사업자)입니다 : 더 추가될 수 있다는 말도 됩니다)

동일 계정 기기가 1대 이상(예 : 워치)일 경우, 연동이 아닌 각각 발급을 새로 받아야(설정) 합니다.
(예 : 폰에 설정하고 워치로 연결(전송)하면, 폰 설정 연결됨이 해제됩니다)

현대카드가 아니라, T머니로 일반 결제할 때(예 : 편의점) 결제가 되지 않는 다면, "T머니(카드 종류)"라고 "계산원"에게 말하고 조금 길게 대어 주십시오.
(익스프레스 설정이 되어 있으면, 우측 두 번 눌러 화면 페이스아디를 활성화 시키지 않아도 됩니다)

"그런데, 교통 카드로 이 짓을 왜 하는 거지?"

"초반이라 궁금하기도 하고, 신기해서 시도해 보는 것이겠지"



저는 애플 페이를 비상용으로 사용하고 있고, 교통 기능 역시 마찬가지라 6천원만 충전 입력했고 실제로 애플 페이 사용율이 적었습니다. 
(애플 페이 되는 곳은, 기성 페이들이 대부분 되기 때문에...)

여담으로 이거.. "사용하지 않는 충전 금액도 쌓이면(잠자는 금액) 엄청날 것 같은데요?"

어쨌든 편의성으로 보면, 되는 것이 안되는 것 보다는 낫겠죠.

T머니앱 설치 고민도 했지만, 앞서 말한 "비상용"으로만 사용할 것 같아 기본앱으로 해결 했습니다.

만약에, 교통 기능을 어느 정도 자주 사용하고 기타 편의성?을 조금이라도 챙긴다면 T머니앱을 설치하는 것이 여러모로 좋을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현대 카드가 아닌 계좌(결제 수단)로 T머니앱에서 충전하면 수수료가 발생하는데, T머니앱에서 기본 마일리지로 상쇄가 되는 듯 하니 T머니앱을 설치하는 것도 나을 수도 있지만 굳이 이래야 하는 이유는 모르겠군요.
(애플 페이는 현대 카드만 지원하기 때문에...)

자신의 처한 환경에 따른, 사용자 선택입니다.

링크 : 타 카드사 애플페이 기다리지 말고, 현대 카드 만드는 것이...


etc :

운전 면허증은 IC로 발급 받으니 2만원 추가 비용이 들어갔었고, 주민증 IC발급은 최소 2주~3주 기다려야 했습니다.
(모바일 신분증앱 등록은, 은행이나 카드처럼 자신만 아는 비밀번호(신분증 발급할 때 기입) 4자리가 있어야 합니다)

"모바일 신분증"앱에서 면허증/주민증 및 기타 공인 자격증을 넣을 수 있습니다.



최근, 주민증과 면허증 모두 IC로 발급받아 '모바일 신분증앱'에 넣어고 이제 교통 기능도 동작하니 스마트폰 하나만으로도 많은 일을 할 수 있는 환경이 되었습니다.

네이버 머니카드에 교통 기능을 해지하고, 페이코 머니카드는 처음부터 교통 기능을 넣지 않은 이유...
(적어도 아이폰은 특별한 이점이 없더라)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소중한 의견, 가급적 빠른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Letsbemild Blog

전체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