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는 개인적인 의견과 경험이 많이 반영되므로, 객관적인 정보가 아닐 수도 있습니다.

이 블로그에서 찾기

2025년 7월 20일 일요일

[GIF 주의]프리미어 프로 동영상 안정화 처리 이펙트 (Warp Stabilizer) & 고프로

 소프트웨어로 안정화(손떨방)를 보정해야 하는 경우라면, EIS를 끄고 촬영했을 때이거나 의도하지 못했던 상황일 것입니다.

또 의도적으로 "야간 촬영(고프로)"에 화질을 위해 하이퍼스무스를 끄고 촬영했을 경우도 있을 것입니다.

다음은 동영상 손떨방(하이퍼스무스)을 소프트웨어로 처리할 수 있는 "프리미어 프로" 안정화 이펙트(Warp Stabilizer)에 대한 것입니다.

살펴 보시죠.


고프로에서 제공하는 하이퍼스무스 소프트웨어(고프로 플레이어) 처리를, 이제는 유료 구독으로만 되기에 "취미로" 영상을 찍는 사람은 비용이 부담스러울 것입니다.

"이놈들은 자사 고프로 하드웨어를 사도 소프트웨어는 유료로 파네?"

"이러니 X망한다는 소리를 듣지!"

==

프리미어 프로에도 대안 이펙트가 존재합니다.
(다른 동영상 편집 프로그램에서 유사한 것들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펙트탭에서 "WAR"로 검색하면 Warp Stabilizer 라는 이펙트가 그 역할을 합니다.

마우스로 드래그 해서 영상 위에 드랍합니다.


그러면, 제어탭에 이펙트가 추가될 것이며 세부 사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굳이" 주목해야 하는 옵션이 있다면 "Framing"입니다.

"굳이 말이죠"


이펙트는 추가하자 마자 "자동" 기본값으로 즉시 처리 되지만, 멈추고 싶다면 위 그림을 상단 버튼을 일단 비활성화 할 수 있습니다.

하단, 4개의 옵션이 있습니다.

기본값은 3번째이며, 보통 이것이 최적일 것입니다.

==

다음은 각각 처리한 영상들의 GIF 파일들입니다.
(고화질 영상은 최하단 유튜브로 확인하십시오)


Warp Stabilizer(프리미어 프로) 안정화 처리가 된 결과 값인데, 바로 밑 "원본"과 비교해 보십시오.

"꽤 괜찮았습니다"
(단점은 게시물 하단에서 다시 설명)


원본 입니다.

하이퍼스무스(EIS)를 끄고 촬영한 영상입니다.


첫 번째 옵션 안정화만 처리한 상태입니다.

흔들리는 프레임만 제거하고 다시 이어 붙이는 것 같습니다.


프레임 제거와 해상도를 잘라낸 결과물입니다.
(검은 배경은 마지막으로 해상도를 확대해야 하는 이유를 알 수 있습니다)

결국, 3번 기본값 그대로 작업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굳이" 알아본다고 한 이유는 단계별 처리 과정에 대한 세부 내용(궁금점) 때문이었습니다.

기술적으로 아시다시피 "EIS 안정화"라는 것은 "최종적으로"해상도를 잘라내는 것으로 맞추기 때문에, 화각이 줄어들고 화면이 확대됩니다.

==

무조건 OIS가 좋지만, "액션캠 한정"에서는 OIS가 딱히 좋다고 말하기도 어렵습니다.
(이것에 관해서는 이전에 너무 자주 언급했으니, 추가 설명을 하지 않겠습니다)






[잡담/기타]





단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영상이 길어질 수록 "엄청난 처리 시간"이 소요됩니다.

편집 인내심을 시험하더군요.

앞서 이미 눈치채셨겠지만, 화면을 더 확대 잘라내기 때문에 화질이 더 나빠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화각이 줄어들 것입니다)

H/W 처리 안정화(EIS)는 이것을 촬영 단계에서 처리할 뿐입니다.
(그래도 속도라든가 편집이라든가 생각하면 H/W 처리가 BEST 일 것입니다)

Warp Stabilizer S/W는 하이퍼스무스(EIS)처리 기능이 없던 "구" 하드웨어기기에 필요할 것입니다.

자주 사용하지는 않겠지만, 특별한 상황에 사용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예 : 하이퍼스무스(EIS)를 끈 야간 촬영)

*주의 : 너무 심하게 떨리는 영상은 이펙트 처리를 해도 품질에 한계가 분명히 있습니다.


블로그 전용 / 유튜브 링크 일부 공개 영상입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소중한 의견, 가급적 빠른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Letsbemild Blog

전체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