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리 저리 줏어들은 정보로는 다른 알뜰폰 업체는 고객센터 연락이나 기타 불편하다는 점이 있다고들 합니다)
다음은 최근(2021년), KTm이 자체 요금제를 할인?(자발적 낮춤?)이 있었는데, 약간
주의 사항이 필요합니다.
살펴 보시죠.
살펴 보시죠.
![]() |
보시다시피, 하위 2가지 요금제는 단순히 이름만 바뀌었고 기존 부가 서비스는 변경이 없습니다. 하지만, 2020년 2회의 업데이트로 가격이 최종적으로 200원 정도 상승하였습니다. (제가 동일 USIM 요금제 / 동일 제공으로 3,190원에 이용하고 있거든요) |
![]() |
하지만, 가장 많이 사용하는 저렴이 알뜰 요금제 대표격인 USIM 1.7의 변형(변경된) 요금제 "상세보기"를 클릭하면... 무료제공을 하던 "올레 Wi-Fi"가 유료(별매)로 변경이 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500원 내려가고 기존 문자와 데이터를 보장하는 대신, 공용wi-fi를 제거해버린 것이죠. |
![]() |
자칫 요금만 보고 잘못 변경하면, 올레 와이파이 부가 서비스로 무료로 제공되는 요금제가 별매로 둔갑할 수 있다. (위 그림은 USIM1.7 요금제, 내가 변경하지 않는 한 기존 혜택이 평생 유지된다) *주 : "평생"이라는 단어에 낚이지 마십시오. (설마 4G를 평생 쓰실려고 생각한 건 아니겠죠?? 수명이 있는 제품 평생A/S도 마찬가지로 그냥 상술입니다) [기타] 단지, 요금이 내려갔다고 상세내용을 놓치고 성급하게 요금제명을 변경하면 안됩니다. (KTm은 요금제 변경이 있을 시, 기존 요금제로 되돌릴 수 없으며 구 요금제 자체가 사라집니다) 이런 저런 이유로 KTm은 수시로? 요금제명 or 요금제 혜택이 자주 바뀝니다. (당연히 기존 가입자는 자신의 혜택을 스스로 바꾸지 않는 한 유지되니 걱정 안해도 됩니다) 물론, 때때로 동일 요금을 지불하고 좋은 쪽으로 바뀌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프로모션의 장점이자 단점일 수 있습니다 - 운빨) 예 : 셀프 USIM 가입시에만 추가로 제공하던 데이터 0.5G가 한 동안은 일반 USIM 가입 요금제로 고정되었던 적이 있었습니다. *팁 : KTm 무약정 유심 가입자라면, 3개월 혹은 6개월 주기로 홈페이지를 방문해보자. (간혹, 운이 좋을 때도 있습니다) 링크 : KTm 알뜰폰 요금제 변경하기(변경항목이 보이지 않을 때 & 요금제 변경시 프로모션할인 적용문제) [잡담] 이제 스마트폰 신제품 발표가 더 이상 새로운 기술과 새로운 변화와 혁신을 일으키는 이벤트가 되지 못한다. (과거 피쳐폰에서 스마트폰의 등장은 사람들의 관심과 생활 패턴의 변화에 중요한 사건이었다) 개인적으로도, 아이폰7 이후(2018년)부터 더 이상 스마트폰 신제품 이벤트와 구입에 관심이 없어져 가는 자신을 발견한다. (달라진 것도 새로운 것도 없는 미미한 변화를 가진 동일 성격의 기종을 옷 갈아입듯 매년 바꾸는 사람들이 되려 이상해 보인다) 요금제와 번호도 마찬가지인 것 같다. 알뜰폰 무약정 유심 요금제의 등장으로 2개를 번호를 목적(공적/사적)에 따라 저렴하게 이용한다. (이상한 번호 변경으로 스팸에 시달린 사건을 빼면 말이지...) |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소중한 의견, 가급적 빠른 답변을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