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관련 위젯은 따로 설정하는 것이 없고, 이미 구글이 정해 놓은 폼을 똑같이 따라갑니다)
가령, 제가 블로그 게시물을 올리고 모바일로 탐색을 해보면 불편한 점이 발견되는데 추가로 수정하고 싶어도 할 수 있는 것이 거의 없다는 것이죠.
이미지를 홈페이지에 올린다고 하면 자동으로 이미지는 테이블 태그에 넣어지는데, 숙련되었다 하더라도 이미지 넣는 것부터 시작해서 좌우 정렬, 동영상 하나 넣는 것까지도 제법 노력이 있어야 됩니다.
오늘은, 요즘 많이 사용하는 "모바일 탐색"에 맞춰 구글 블로그에서 자동 화면 크기(변화)에 대한 삽입된 동영상이 화면(가로 넓이)을 넘쳐버리는 문제에 대해 나름 해결한 방법을 설명할까 합니다.
(PC용 웹에서는 좌우 정렬과 이미지와 동영상 보기가 제대로 구현했다 하더라도, 모바일에서 게시물 배치(프레임)가 제대로 되지 못하는 (반응형 웹페이지)문제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내가 시도 해본 것 중...
*인터넷 검색을 통해 "반응형 웹페이지" 태그를 살펴보면, 대부분 다음과 같은 태그 문장을 알 수 있고 따라하면 해결된다고 합니다.
<div style="position: relative; max-width: 100%; padding-bottom: 56.25%; height: 0;">
<iframe width="16" height="9" src="https://www.youtube.com/embed/유튜브 영상?frameborder="0" allowfullscreen="" style="position: absolute; position: absolute; top: 0; left: 0; width: 100%; height: 100%;"></iframe>
</div>
하지만, 위의 경우(CSS 추가방식이 아님)는 단순한 웹페이지나 프레임 상위에 삽입할 경우나 작동하지.., 테이블 태그가 포함되거나 미디어가 게시물 중간에 삽입, 많은 프레임과 미디어 종류가 동영상이 다수인 경우 제대로 동작하지 않더군요.
(더군다나 저처럼 프레임이 3개이고, 각종 미디어 포함, 테이블 태그와 TR태그등을 사용하면 엉망이 되어 버렸습니다)
살펴 보시죠.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변경하니, 작동하였습니다)
수정된 완료된 결과물 입니다. *반응형 웹페이지 자동변경이 안되어 고민이고 이 게시물로 방문했다면, 이 웹페이지 하단 "유튜브 / WEBM"파일을 통해 해결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즉, 반응형 웹페이지 설정 이전에는 모바일에서 유튜브 동영상이 웹 프레임 화면밖으로 넘쳐 버렸었다는 것이죠) |
![]() |
우선 자신의 구글블로그에서 "테마" "맞춤설정"으로 들어갑니다. |
![]() |
그러므로 그것을 해결하기 위해 구글 블로그 웹게시물에서는... 인터넷에서 검색하여 시도한 태그는 작동하지 않았기에 다른 방법으로 "CSS"를 추가하는 방식을 선택했습니다. (인터넷을 뒤져 지정된 프레임 템플릿 구조인 구글 블로그에 대응 법으로는, 이것이 가장 효과적이라 판단 되었습니다) |
![]() |
그림처럼 글자(다운로드는 바로 아래)를 모두 복사해서 블로그 테마 디자이너 CSS 항목에 추가해 줍니다. (세부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초록색 ".video" 와 ".video-container" 는 웹페이지 작성시 내가 호출할 속성 이름입니다. 56.25%는 알려진 16:9 비율값인데, 구글 템플릿에 따라 달라져 저는 51.80%로 맞추었습니다. (왜 2개가 있냐하면, 미디어 종류마다 가로/세로 비율이 달리 표현되었기 때문입니다) 위의 .video는 웹페이지 WEBM 비디오용이고, 뒤의 video-container 는 웹페이지내 유튜브 대응용 입니다. (서로 다른 종류 중, WEBM 영상은 56.25%를 적용하고, 유튜브는 98% 51.80% 사이즈를 적용 시킬 것이라는 내용입니다) 잘 모르겠다면, 일단 이것을 "DownLoad" 받아 CSS에 추가하고, 우측 상단 "블로그에 적용"을 누르세요. |
WEBM 테스트 영상
(웹페이지 정상, 모바일에서 영상 사이즈가 넘치지는 않지만 전체 프레임은 유지가능)
(웹페이지 정상, 모바일에서 영상 사이즈가 넘치지는 않지만 전체 프레임은 유지가능)
유튜브 테스트 영상
(웹페이지 정상, 다양한 모바일 사이즈에 맞춰 자동으로 프레임을 유지)
(웹페이지 정상, 다양한 모바일 사이즈에 맞춰 자동으로 프레임을 유지)
안녕하세요 홈페이지에 동영상을 직접 첨부하고싶은데 확장자 설정을 어떻게 해야 익스플로러, 크롬 둘 다 재생 가능할까요? (가지고있는 영상 확장자 mp4가 크롬에선 재생되는데 익스플로러에서 재생이 안됩니다..)
답글삭제댓글 감사합니다.
삭제일단, 질문은 게시물과 직접적 관련은 없는 것이기는 합니다.
홈페이지 같은 경우 서비스 하는 업체(네이버,구글..기타)에서 미디어파일(동영상)을 어떤 정책으로 구현하는지도 중요합니다.
질문하신, 크롬은 되는데 익스프롤러만 똑같은 태그에서 되지 않는다고 하셨습니다.
따라서, 익스프롤러 애드온(플러그인)이나 html태그가 지원하지 않는 경우이거나 아니면 애드블럭등이 막고 있지 않은지 점검할 필요가 있습니다.
크롬에서 된다고 하였으니, 제가 추측해본다면 IE의 플러그인 지원문제가 아닌가 합니다.
감사합니다.
추가로 홈페이지 구현에 mp4 파일을 직접적으로 재생(스트리밍)하는 것은 좋은 방법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삭제mp4 파일은 용량도 크고 방문자가 스마트폰으로 방문시 데이터량을 많이 소모하게 되고 포맷특성상 로딩이 길어지기 때문입니다.
(유튜브영상 링크태그와는 다른문제이겠지요)
짧은 영상으로 홈페이지를 구성한다면, 개인적으로 WEBM 파일을 추천합니다.
답답한 마음에 댓글 드렸네요 답글 너무 감사드립니다:)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