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중에 'abobe Premiere Pro' 처럼 장기적으로 도움되고 확장성이 용이한 프로그램은 없다고 생각됩니다.
링크 : 프리미어 프로 (구)버전에 있던 Roll Effect (신)버전에서 효과 구현하기
블로그 전용 / 유튜브 링크 일부 공개 영상입니다.
(신 버전 2023에서 사라진 이펙트를, 이런식으로도 만들 수 있습니다)
살펴 보시죠.
![]() |
프리미어 프로입니다. 최근에 많은 버전이 나왔지만, 저는 일부 기능만 사용해도 충분해 구 버전이라도 크게 불편한 것을 모르겠습니다. |
|
서서히 먼거리를 다가간다는 느낌의 표현입니다. (말로 표현하기가 애매하지만, 이럴때는 반대로 설정한다는 것을 생각해야 합니다) 서서히 사진을 크게 만들어 다가간다는 느낌의 표현이므로, 사진을 처음에 작게 만들어야겠습니다. 아래 그림을 보시지요. |
![]() |
1번을 이용해서 "Scale"의 크기를 2번 포인트 (해당 스케일의 숫자를 바꾸면 자동으로 생김)에, 3번처럼 화면 크기를 65% 정도로 줄여 놓습니다. |
|
위 그림처럼 종말 지점에 사진을 원래 크기로 놓으면 가까이 간다는 느낌을 만들 수 있습니다. 다음 그림을 보시지요. |
![]() |
마지막 포인트를 갖다 대놓고, 왼쪽으로 스케일을 100%로 만들어 주면, 첫 포인트와 마지막 포인트 사이를 알아서 이어주게 됩니다. |
![]() |
그림을 두 장을 넣어 놨는데, 시간을 이용하여 속도를 조절하면 됩니다. (또는 각 그림을 우클릭 하여 Speed/Duration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아래 동영상은 재 제작되어 opacity 리드인,아웃 효과가 삭제되어 있습니다. 상단 동영상을 참고 하십시오. |
![]() |
해당 그림의 이펙트 효과 중에 Roll의 속성을 클릭합니다. *주 :프리미어 CS6에서는 기존의 CS3에서 보여줬던, ROLL 이펙트가 삭제되어 있습니다. 안타깝게도 저는 찾지 못하였는데, 모션(기본 움직임)효과로 비슷하게 낼 수 있습니다. (또한, CS6에서는 ROLL 효과가 더 세부적으로 바뀌었음을 알 수 있는데, 더 복잡해진 것 같군요) |
![]() |
이동할 방향을 결정해서 아래 그림처럼 효과를 만들 수 있습니다. (한 장의 눈이 내리는 효과가 있다면 위/아래를 이용하면 됩니다) |
롤이펙트를 적용한 것입니다.
*팁 : 롤이펙트 적용시 프레임 수가 적어 눈이 아플때는 높은 프레임으로 인코딩하면 됩니다.
*팁 : 롤이펙트 적용시 프레임 수가 적어 눈이 아플때는 높은 프레임으로 인코딩하면 됩니다.
블로그 전용 / 유튜브 링크 일부 공개 영상입니다.
(신 버전 2023에서 사라진 이펙트를, 이런식으로도 만들 수 있습니다)
동영상은 객체는 그대로 두고, 배경화면을 이동시킨 것입니다.
시작과 끝의 서서히 밝아짐과 끝의 서서히 흐려짐(Opacity)을 확인 하십시오.
프리미어 프로에 대해 완전 초보라면 기초를 조금 더 알아봅시다.
프리미어 프로에 대해 완전 초보라면 기초를 조금 더 알아봅시다.
영상은 위에서 배운대로, 한 장의 그림으로 만들었지만, 적용법은
같습니다.
반대로 만들면 다시 멀어진다는 느낌을 표현 할 수 있습니다.
(표현과 상황에 맞게 시간을 조절합니다)
반대로 만들면 다시 멀어진다는 느낌을 표현 할 수 있습니다.
(표현과 상황에 맞게 시간을 조절합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소중한 의견, 가급적 빠른 답변을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