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연히 아는 사람에게 10세대 업그레이드 후, 기존 5년된 삼성 데스크탑
하스웰 H81 슬림PC를 떠 맡았습니다.
(DVD-Multi 레코드 및 메모리 DDR3 12800 2X2개(4G), 무선 Wi-Fi 규격 B/G/N 지원, CPU는 G3220 가 있었는데, 솔직히 그다지 관심이 없었습니다)
말하자면, 이것을 사용하기 위해 돈을 쓴다고 효과(성능)와 수명을 기대할 것이 없기 때문일 것입니다.
*메인보드 이름은 H81S1 이며,
대만 업체에서 삼성에 부품을 공급한 것으로, 흔히 "대기업PC"라고 합니다.
다음 링크들(메인보드 및 CPU)에서 각종 제원을 상세히 알 수 있고, 메뉴얼을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링크 : https://www.samsung.com/sec/support/model/DM301S3B-A10S/
재활용 쓰레기통 직행하기 전에 쓸모 있는 부품이 있을까 분해를 했는데(2021년에
쓸모가 있을지), 하스웰 CPU를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이제는 구할 수 없는
"메인보드"는 중요한 부품이기도 합니다만...
(두 달전 사용하던 보드(H97)가 고장나는 바람에 중고 하스웰 리프레시 보드를 구할 수 없어 대안으로 Intel 10세대를 사 버리고 말았습니다)
희한하게도 거사를 치루고 나면, "타이밍 맞지 않게" 이런 것이 그냥 생기는
군요.
다음은, 삼성 dm301s3b-a10s 보드를 사용하는(또는
재구입)사람이, 보드의 상세 부분(점프 스위치등) 정보를 찾을까 하여, "메인 보드"의 몇 가지를 정보를 남기기 위해 게시물을 작성합니다.
|
DDR3 12800(1333) 메모리 슬롯을 2개 가지고 있습니다. 아마 최소 16G(8X8) 까지는 지원할 것입니다. (최대는 32G 지만, 제조사 보드 메모리 슬롯 4개 기준이므로 다를 수 있습니다) 인텔 8 씨리즈 칩셋은 32G 를 지원한다. |
|
삼성 로고가 보이는 군요. 작동 확인하는 것을 보고 업그레이드 했고, 메인보드는 윈도우10 정품인증되어 있습니다. (당연하게도 대기업 제품이니까요) 쿨러는 삼성제품은 현재(2021)까지도 자체 납품용을 쓰더군요. |
|
대만 업체가 공급한 H81S1 |
|
알차게도 요즘 찾아볼 수 없는 PCI 슬롯(흰색)이 하나 있습니다. 친절하게 보드에 슬롯당 용도를 마킹 해놓았습니다. |
|
컴포트를 보통 사람을 쓸 일이 없지만, 기업에서는 간혹 사용한다고 합니다만... |
|
삼성 홈페이지에 구체적으로 나오지 않은 부분입니다. 그림처럼 각종 스위치를 구분해봤습니다. |
|
전면 오디오 포트는 일반적인 조립용과 다르지 않습니다. |
|
전면 USB 포트는 USB 2.0 입니다. (주 : 안타깝게도 3.0이 아닙니다) |
|
기본 부착된 무선랜 wi-fi PCI-E 카드입니다. 서두에 말했다시피 N 규격까지 지원합니다. 우측에 보이는 4각형의 스펀지와 또 다른 사각형을 쇼트나지 않게 케이스에 띄워서 멀리 적당히 부착합니다. (안테나 입니다 - 플라스틱 부분에 적당한 공간에 부착하십시오) |
|
미처 제품 제조사를 확인하지 못했습니다. 라이트온 이라고도 하고 anatel 이라고도 써여져 있어서 어디가 우선인지 원... (ODD를 출시한 적이 있는 라이트온은 오래전 대만 업체인 것을 알고 있습니다) |
|
무선랜을 위한 PCI-E 미니슬롯과 SSD용 mSATA 슬롯은 서로 공유/ 호환되지 않으므로, 주의하십시오. |
안녕하세요 글 잘봤습니다.
답글삭제곧 2025년 윈도우10 종료 되는 시점에
삼성전자 H81S1 보드에는 TMP 꼽는 단자가 없네요?
P118
LPC_DEBUG 이것은 단자에 진단기를 꼽아 메인보드 오류 검출하는곳인가요?
댓글 감사합니다.
삭제이미 제 손을 떠나 확인할 수 없지만, TPM은 없는 것 같습니다.
LPC_DEBUG 는 말씀하신 진단키트 장착하는 곳인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