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25년 1월 기준) 고프로 13 초기 생산분을 제외하고, 13전용 애너모픽
렌즈가 공홈에서도 판매가 되지 않고 있습니다.
애너모픽 렌즈는, 아시다시피 시네마틱 특화용 렌즈이며 고프로 13
이전에도(고프로9) 호환 중공산 렌즈는 있어 왔습니다.
13이 아닌 호환 렌즈를 호기심으로 어떨까 고민한 이유가, 고프로 13용은 너무
비싸기도 하고 특별히 관심이 없거나 잘못 알고 구입한다면 돈 낭비가 되기 십상인
제품 분류이기도 했습니다.
그래서, 저렴한 호환 렌즈로 입문해보려고 정보를 모으려고(가지고 있는 고프로 9용) 알아보다(국내 고프로 시네마틱 렌즈 유튜브나 후기 없음 / 대포 카메라는
있지만), 외국 유튜브 영상과 문서 정보를 취합하면서 호환용 렌즈는 "보류" 하는 것이 현명하다 생각했습니다.
목록 :
1. 시네마 렌즈 대비 고프로 초점 거리.
2. 비네팅(가장자리 왜곡)없는 화각.
3. 가격(호환용 가성비)
4. EIS 하이퍼스무스 문제
5. 수평 유지 고민 (고프로EIS + 짐벌 조합)
왜 그런지, 그 이유를 살펴 보시죠.
|
알리나 쿠팡 네이버등 검색을 해보면, 제조사(호환)마다 가격이
제각각입니다.
유심히 살펴 보니, 초점 거리에 따라 가격이
다르고 배수에 따라 가격이 다르더군요.
1.33x / 1.2x / 초점
거리와 신뢰도 등등...
그리고, 호환 렌즈임에도 가격이
상당합니다.
그나마, 좌측의 스카이리트가 조금 신뢰도?가 있는
것 같습니다만, 호환 주제에 너무 비싸죠.
==
정말
국내에 사용 후기가 너무나 없습니다.
그저 시네마틱 용이라는
기초적인 정보만 나열한 블로그만 있더군요.
시네마틱 기초 요구 조건 :
렌즈가 시네마틱에서 요구하는 품질에 부응해야 합니다.
1.
비네팅이 전혀 없는, 좌/우 넓은 화각을 지원해야 합니다. (가장자리
왜곡이 있는 초광각에서 자르는 것과는 결과물이 전혀 다릅니다 : 이건
방문자께서도 쉽게 확인이 가능합니다)
애너모픽 렌즈를
착용하면, 리니어나 협각(망원) 렌즈에서 비네팅 없는 좌우 마진이 늘어납니다.
2.
장착 기기에서 S/W, H/W 에서 반드시 수평이 유지되어야 합니다. (1인칭
시점에 특별한 것 외에, 영화에서 수평 유지 안되는 영상을 본 적이
있습니까?)
"고프로 수평잠금 기능은 화각을 더 잘라 화질이 더러운데..."
3. 장착 기기에서 24F 필름 프레임을 설정해야 합니다. (말하나
마나.., 60f(2x) 촬영 / 1x 재생은 "시네마틱 본질"과는 관계없는 영상 슬로우 효과일 뿐입니다)
4. 늬리끼리한(5000K전후) 색상(화이트발란스)을 무의식적으로 시네마틱이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는데, 크게 관계는 없지만? 효과가 비슷하긴 할 겁니다. (아마 그 이유가 과거 필름 영사기(카본을 태워 밝기를 유지) / 영사 빛 효과(누래짐) 때문일 것입니다)
이건 물리적 렌즈 구입과 관계없는 부분이므로 넘어가겠습니다.
5. 화면 비율은 시네마(영화산업) 표준(대부분 미국이겠지만) 정의한 뭐시기?가 있습니다. (요즘은 1.33x 기준인가 봅니다)
6. 렌즈 플레어? (수평형 일자 렌즈 플레어를 언급하는 영상을 봤는데, 딱히 그게 결정적인 요소도 아니고...)
호환 렌즈의 문제점 :
1. 고프로에서 위 1번 항목에 맞는 조건은 "리니어 화각과
협각(망원)" 뿐입니다. (최소 초점 거리와 최대 초점 거리는 고프로가 만족하기 어려울 수 있어 돈 낭비일 수 있습니다)
고프로 13용
애너모픽도 크게 다르지 않겠지만, 100% 고프로가 S/W, H/W를 지원하겠죠.
2.
수평 유지를 위해 짐벌을 사용해야 합니다. (고프로 하이퍼스무스(EIS)와 H/W 짐벌을 비교하는 것은 무의미합니다)
3. 호환 렌즈는 "하이퍼스무스(EIS)"를 OFF 해야 한다고 합니다. (유튜브 구입 후기에 공통적으로, 고프로 제조사가 지원하지 않는 호환 렌즈는 짐벌을 사용해야 한다고 합니다)
아니면, 항상 삼각대를
고정하거나, 매우 정적인 영상 촬영만 해야 합니다. (유튜브
영상을 보면 바이럴인지 모르겠지만, 대부분 정적인 영상들로 시청자를 속이고 있습니다)
고정 되어서 주시하거나, 조금만 움직이거나 / 천천히 움직이거나 하는 필터 영상들로 호객을 하고 있다. (물론, 영화라는 것이 카메라가 빠르게 움직이지는 않을 것입니다만...)
4. 우리는 액션캠(고프로)에 장착할 악세사리를 말하고 있습니다.
"네..."
액션캠을 사용하는 사람은, '가벼운
마음으로 편리하게' 라는 관념이 무의식적으로 있습니다.
반대로
말하면, '대포 카메라'들고 가벼운 마음으로 찍지는 않겠죠?
저는
여기에서 호환 렌즈 + 액션캠의 한계점을 느끼고 구입을 망설이게 된 것입니다.
|
|
보시다시피, 호환 렌즈 설명서인데 설정법이 "대부분 이것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협각과 리니어 화각에서 "사진" 모드와
"비디오" 모드에서 제한하는 화각을 사용해야 합니다.
좌측
그림처럼, SV 나 W 화각을 설정하면, 물리 렌즈가 가리게 됩니다.
고프로에서 비네팅 없는 좌우 마진을 늘이는 방법은 L 와 N 화각
뿐입니다. (그기다
협각(N)이 제거된 고프로 신버전은 다시 생각해야 합니다!)
|
|
때문에, 그림 처럼 호환 렌즈의 최소 / 최대 초점 거리별
가격이 차이
나고 있습니다.
*초점 거리 :
초점 거리가 멀면(망원) 멀리 있는
사물을 가까이 보는 것처럼 할 수 있고, 초점 거리가 가까우면(광각) 멀리 있는
사물을 모두 포함하여 모두 담겨 보일 것입니다. (망원 대상(평면)과
광각(왜곡)의 대상)
망원은 (70mm)에 가까워지므로 비네팅이
없고, 광각(17mm)은 넓어져 비네팅이 있습니다. (최소/최대를
포함하므로, 가변은 15mm - 35mm 이런 식으로 표현합니다)
|
|
그림에서 보다시피, 시네마틱 왜곡없는 평면은 협각이 최선이고 리니어가 차선입니다.
그리고, 하이퍼스무스는 꺼야 (짐벌을 써야 하며)합니다. (고프로에 짐벌을 사용해 본 보통 사람의 입장으로, 그것은
최악의 조합이자 경험이었습니다)
전문적인 시네마틱 영상을 원하면, 고프로 플랫폼이 아니라
다른 플랫폼을 찾는 것이 정신 건강에 좋을 것입니다.
짐벌을 써야 한다면, 차라리 플래그십 스마트폰 조합으로 시네마틱 효과를 구현하는 것이 어쩌면 보통 사람에겐 더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b/R29vZ2xl/AVvXsEiS8YBDTNjXl_j-10Yxno1J369XqhUngzTQCj8dJ7V6NX5ZwEqpAnmsffxMmsNrSGz5-tpuv4dhPJtV2L2xcyX7sIzRHGq4MSjAE41LSSVpW3lkAkmupxw-F9-ZZ9SZJ_b5-13NI_vMW-gdt_kC5CZ1tLSL9wSUv0yRUmWq4HwAnF8LQEOJTRMaJNfy1Hc/s16000-rw/IMG_3654.jpg) |
고프로 협각(27mm)과 비슷한, 아이폰 (1x ) 26mm 광각
아이폰(시네마틱 모드 아님)에 기본 필터 + 1x / 3x 인코딩 조합도 충분한 대안이 됩니다. (1x도 가장자리 왜곡이 적은 편이기도 하고, 아쉽지만 편집 프로그램으로 해결 가능한 수준입니다)
[잡담]
추측을 하지 않으려고 노력하기에 물건을 사보고 후기를 남기는데...
이번에는 기대와 달리 100% 후회할 것(1회성 or 활용 못할 것) 같았습니다. (실 사용에서 불편할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이전 고프로13 매크로 렌즈와 CPL 렌즈는 어느 정도 예상이 가능했기에 후회가 없었습니다. (번거로움을 감수해도, 저의 기대하는 사용성 예측 범위에 들었기 때문이죠)
==
아마도? 언제인가? 구입할 기회가 있다면..?
고프로 13 전용 애너모픽 렌즈를 구입하는 방향으로 갈 것 같습니다. (기기 자체에서 H/W, S/W를 지원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기능입니다)
저는 전문적이고 복잡한 성능보다, 접근성이 좋은 활용도가 좋습니다. (Must Be 짐벌 이라면 포기)
[기타]
아래 테스트 그림처럼, 시네마틱 비율은 5K or 4K 기준 "5120 X 2160"일 것입니다. (주 : 해상도가 아닌 비율 - 프리미어 프로 HD Anamorphic 비율 적용)
|
|
16:9 모니터 전체 화면에서는 위/아래 검은 배경이 보일 것입니다.
(영상은 블로그 플랫폼 문제로 9프레임(GIF)이지만, HDR 영상 24F가 원본입니다)
이런 HDR 화면에 CPL or ND 필터(빛 반사 문제)만 있으면 딱인데...
시네마틱 영역에서 "수평 유지(짐벌)"가 왜 중요한지 알 것입니다.
*주 : 비네팅 효과(1)와 광각에 의한 가장자리 왜곡(2)은 표현은 같지만, 내용은 다릅니다. (위 샘플 영상의 가장자리는 영상 왜곡이 아닌 비네팅(검은 효과)입니다)
|
|
시퀸스 설정에서 1.33x 비율(렌즈 기준)을 선택하면 됩니다. (렌즈 배수
1.33x = 촬영 영상 화면 크기 1.33배로 확대하면 된다)
최대한
고해상도로 촬영하는 것이 편집에 이득일 것입니다.
|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소중한 의견, 가급적 빠른 답변을 드리겠습니다.